오일쇼크때 미국은 어떤 대책으로 경제위기를 벗어날 수 있었나요?
오일쇼크때 전세계의 경제가 엄청 어려웠었고
기존에는 없었는 디플레이션과 인플레이션이 합쳐진
스태그 플레이션도 왔었는데
인플레이션은 통화량을 줄이는 대책,
디플레이션은 통화량을 늘리는 대책으로
어느정도 극복가능하지만
이 두개가 합쳐진 스태그플레이션의 경우에는
어떻게 해결이 가능했던 것일까요?
오일쇼크로 스태그 플레이션이 왔고
그당시 이 상황을 벗어나기 위한 해결책으로
어떤 경제정책이 나왔었나요?
그리고 실제로 오일쇼크를 벗어날 때
대책으로 나온 경제정책들이
실질적으로 시장경제에 효과가 있었는지요?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당시 정부는 위기 극복을 내세우며 국민에게 석유소비 절약운동, 사실상 석유배급제 실시 등을 꺼내 들었다.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오일 쇼크로 인해 미국은 다음과 같은 주요 경제 대책들을 실행했습니다.
1) 에너지 절약 캠페인: 미국 정부는 에너지 절약을 독려하기 위해 국민들에게 에너지 절약 방법을 안내하고, 에너지 절약 캠페인을 실시하여 에너지 소비를 줄이도록 촉진했습니다.
2) 에너지 다각화: 미국은 석유 의존도를 낮추기 위해 다양한 대체 에너지원에 투자하고, 천연가스, 태양광, 풍력 등의 에너지 생산을 증가시키는데 노력했습니다.
3) 긴축 정책: 이러한 에너지 위기로 인해 인플레이션과 경기 침체가 우려되었기 때문에 미국은 긴축 정책을 시행하여 물가 상승을 억제하고 경기를 안정시키려고 노력했습니다.
4) 재정정책 조정: 미국 정부는 경제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재정정책을 조정하여 경기 부양 정책과 기업 지원 정책을 시행했습니다.
이러한 대책들을 통해 미국은 2차 오일 쇼크로 인한 경제적 어려움을 극복하고 안정성을 회복하려고 노력했습니다. 이후 미국은 에너지 다각화와 에너지 효율성 증대를 통해 에너지 위기에 대비하고자 하는 노력을 지속해왔습니다.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1차오일쇼크때 미국은 경제정책보다는 기술혁신으로 생산비용을 절감시키고 생산비용 절감으로 인한 물가하락과 고용증가로 인해 스테그플레이션을 극복한걸로 알고 있습니당!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스테그 플레이션 시기에 미국은 일단은
물가를 잡는 것에 주력하였고 현재와 마찬가지로
엄청난 금리인상으로 해결하였으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오일 쇼크 때 미국은 에너지 절약과 대체 에너지 개발에 주력하여 경제위기를 극복했습니다. 에너지 절약을 통해 소비를 줄이고, 정부는 대체 에너지 연구와 개발에 투자하여 석유 의존도를 낮추고 신규 산업을 육성했습니다. 또한 통화정책으로 금리를 조절하고 재정 정책으로 경기 부양을 시도하여 경기를 안정화시켰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