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적화된 자산관리 방법이 궁금합니다.
월 250만원 정도의 월급을 수령하고 있는데 소비하고 저축하면 월 150만원 정도 저축을 하고 있는데 단순 저축만이 답인지 어떻게 관리할수 있는 방법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나이가 어릴수록 세제혜택 계좌를 최대한 활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 이유는 사회초년생일 때 세제혜택율이 매우 높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저축을 할 때 일반 예적금 보다 청년 적금이나 연금저축펀드를 활용하시길 바랍니다
연금저축펀드를 먼저 말씀드리면 1년 최대 600만원까지 최대 16.5%의 세액공제를 제공합니다.
이는 연말정산시 99만원의 현금을 돌려받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계좌들을 활요하면 150만원의 저축효율을 최대로 끌어올릴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무냏주신 최적화된 자산관리에 대한 내용입니다.
일단 투자에 익숙하지 않으시다면 저축을 유지하시는 것이 좋아 보입니다.
다만 적금과 예금을 최대한 활용해주시는 것이 그나마 자산을 늘리는 길입니다.
안녕하세요. 조형근 경제전문가입니다.
월 150만원을 저축할 수 있다면
월 10만원 청약저축
월 10만원 비상예비비(CMA)
월 40만원 청년도약계좌
월 90만원 중개형ISA - 주식, 채권, 금, 현금 ETF 똔느 펀드에 분산투자
하여 관리할 것 같습니다.
현금을 일부 보유하는 것은 좋지만
자본주의시대를 살면서 투자는 결국 필수죠.
다만 어떻게 투자를 할까에 대한 것은 개인의 재무상황과
투자성향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분산투자를 어떻게 하는게 좋은지 고민 해 보는게 좋죠.
최초 저위험 중수익 포트폴리오를 활용하여 투자경험을 쌓기에는
'영구포트폴리오'가 도움이 됩니다.
영구포트폴리오에 관한 내용은
제가 블로그 포스팅으로 남겨 둔 것이 있어 참고하시면 도움 되실거에요
아하에 링크 첨부가 안되어서..
네이버 검색창에 '머니셰프 영구포트폴리오'라고 검색하시면 바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도움 되셨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개인적으로 32살이시며 미혼이시기에 결혼이나 내집마련 등을 위해서는
어느정도의 현금 보유는 필수적이라고 보여집니다.
그러나 투자자금의 일부와 같은 경우 장기적인 관점에서 주식 등에 대한
투자도 고려해보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전문가입니다.
단순 저축만 하는 것보다 다양한 방법으로 돈을 관리하면 더 효율적입니다. 예를 들어 적금이나 예금에 일부를 넣어 이자를 받거나 안정적인 ETF나 펀드 같은 간단한 투자 상품을 고려해 볼 수 있습니다. 이렇게 하면 돈이 조금씩 불어나서 나중에 더 많은 돈을 모을 수 있습니다. 중요한 건 너무 무리하지 않고 안전한 방법으로 돈을 불리는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곽주영 경제전문가입니다.
세제혜택이 있는 isa와 irp계좌를 만들어서 수수료가 저렴한 미국지수 추종 etf와 한국 코스피 지수를 추종하는 etf에 투자하시는게 가장 좋은 방법이라고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