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생활

생활꿀팁

귀한아비83
귀한아비83

요금 축의금 얼마씩 하시나요?

얼마전에 처남이 결혼해서 식대를 계산했는데 68000원 이더군요. 지금까지 회사동료나 친하지 않은 사람은 5만원만 했는데 직접 식대 계산을 해보니 적다는 생각이 들더라고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1개의 답변이 있어요!
  • 침착한왕나비53
    침착한왕나비53

    안녕하세요. 침착한왕나비53입니다.


    요즘에는 더 헷깔릴것 같아요.

    예식장마다 식대가 다르기도하고 해서 34년 전은 5만원 안쪽이었던것 같은데(식장마다 다르기는함)

    최근에는 다들 많이 올라서 5만원 하면 작은가? 하는 느낌이 생겼습니다.

    코로나로 참석도 많이 줄어서 지인일경우(회사동료 등) 은 가서축하도해주고 10만원정도 합니다.

    3~4년 전에는 5만원 했습니다.

    그리고 안갈경우에는 5만원 합니다.

    사람마다 다르겠지만 10만원도 부담이되는건 사실이더라구요.

    (5만원에서 10만원 사이로 하면 좋겠는데 숫자도 뭔가 애매.. )

    가족이나절친등은 더 많이하구요.

    수고하세요!!

  • 안녕하세요. 신대부적오함마입니다.

    그렇거 안친하다싶으면 안가고 5만원보냅니다. 조금 친하다 싶으면 10만원보내고 가서 얼굴인사하고오구요

  • 안녕하세요. 풋풋한가오리105입니다.

    축의금 요즘은 같은 직장인도 10만원씩 하더라구요 형편에 맞게 내고 싶은데 안되서 그냥 적당한선에서 형편에 맞게 매세요

  • 안녕하세요. 비올리노골드입니다.

    어디서 하느냐에 따라 다르기도 하고

    친분관계에 따라 다르기도 하고요

    안가고 5만원 가서 식사하고 10만원. 이정도가 보통이고

    여기서 관계도 두텁고 고가의 식장이면 좀 더 합니다

  • 안녕하세요. 굳건한사마귀212입니다.


    웬만한 사이는 오만원을 기준으로 하고

    특별한사이부터는 십만원을 기준으로 차이를 둡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모던한푸들249입니다.

    일반적으로 5만원정도면 괜찮을것 같고 친한친구나 동료는10만원정도면 무난할것 같아요

  • 안녕하세요. 빼어난남생이154입니다.

    축의금은 말 그대로 축하하는 마음의 표식입니다 화폐단위가 커지면서 축의금의 부담도 늘어났죠?

    옛날엔 곡식과 음식으로 부조를 하곤했었는데

  • 안녕하세요. 재빠른라마175입니다. 보통 아는 지인인경우는 5만원하고요 . 가까운 사이이면 10만원 합니다. 친척이나 가족은 훨씬더 많이 내구요

  • 안녕하세요. 스토자입니다.

    본인과 친하다 생각하시면 10만원 이상, 적당한 사이다 하시면 5만원만 하시면 되겠습니다.

    좋은 하루되세요.

  • 안녕하세요. 기민한벌새218입니다.

    결혼식 축의금은 5만원합니다.

    친분이 더 있으면 10만원하죠. 참석의 의미가있습니다.

    요즘코로나로 마음만 전달하는 의미에서 계좌이체만 하기도 하죠

    정답은 없고 관계의정도나 상황에따라 하면될것같습니다.

    수고하세요

  • 안녕하세요. 핫한기러기17입니다.

    뭐 개별적 재정상황이나 관계에 따라 다르겠지만,

    평범한 사이라면, 5만원.

    친밀한 사이라면 10만원을 냅니다.


    그 중간에 애매하다? 5만원을 내고 식사를 하지 않습니다.


    제 기준은 이런데, 아마 조금씩 차이는 있을 것 같네요.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