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경제정책 이미지
경제정책경제
경제정책 이미지
경제정책경제
뽀얀굴뚝새243
뽀얀굴뚝새24323.12.15

초고령화사회 진입 시 어떠한 대책이 필요할까요?

저도 머지 않아 노인이 될 것이고 그 대열에 낄 텐데

생산인구는 갈수록 줄어들고 노년층이 늘고 있어서

사회적 문제점이 많은데, 정부는 이에 대한 대책을

강구하고 있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대길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뉴스 기사를 보면 아시겠지만 관련한 것에 대해 아무런 대책을 강구하고 있지않습니다

    요즘 유행어는 무정부시대, 각자도생입니다

    신자유주의가 바로 이뜻이고 이는 현집권당의 이념입니다 자유, 경쟁,

    기껏한것이 기초연금인상정도고 지속성장이 가능하려면 기술이나 과학투자들이 이루어져야 하는데

    오로지 수출을 위한 외교만 하고 있고 이는 일회성이나 mou로만 끝날가능성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철민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초고령화 사회 진입은 인구 구조에서 노령 인구의 비중이 증가하고 생산가능 인구의 비중이 감소하는 상황을 의미합니다. 이는 사회적, 경제적인 변화와 도전을 초래하므로, 정부는 이러한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다양한 대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정부가 추진하는 초고령화 사회 대책은 다음과 같은 내용을 포함할 수 있습니다


    노인 복지 강화: 노인들의 건강과 복지를 위한 정책을 강화하고, 노인들이 건강하고 삶의 질이 높은 생활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이는 의료 서비스 개선, 건강 증진 프로그램, 경제적 보장, 주거 지원 등을 포함할 수 있습니다.


    고용 및 노동 시장 대응: 생산가능 인구의 감소로 인한 노동 시장의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고령자의 일자리 창출을 지원하고 고령자들에게 적합한 일자리 환경을 조성하는 정책을 추진합니다. 이는 고령자 고용 지원, 재교육 프로그램, 유연한 근로시간 제도 도입 등을 포함할 수 있습니다.


    사회통합 및 문화 환경 조성: 노인들이 사회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고, 사회적 연결성을 강화하는 정책을 추진합니다. 이는 노인들의 사회참여 지원, 노인과 청년 간의 상호작용 프로그램, 문화적 취미 및 활동 지원 등을 포함할 수 있습니다.


    건강관리 및 의료 서비스 개선: 노인들의 건강을 유지하고 의료 서비스에 대한 접근성을 개선하기 위한 정책을 추진합니다. 이는 예방의료 프로그램, 의료 기술 혁신, 의료 서비스 확충 등을 포함할 수 있습니다.


    경제적 지원 및 금융 관련 정책: 노인들의 경제적 안정성을 위해 재정적 지원 및 금융 관련 정책을 추진합니다. 이는 노인 연금 제도 개선, 장기요양 보험 제도 개선, 재무상담 서비스 제공 등을 포함할 수 있습니다.


    이 외에도 정부는 초고령화 사회에 대응하기 위해 연구와 데이터 수집, 교육 및 정보 제공 등 다양한 분야에서 대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초고령화 사회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정부의 노력뿐만 아니라 사회 전반의 인식과 참여가 필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초고령사회로 진입하게 되는 경우에는 세수가 감소하기 때문에 이 부족한 세수를 채울 수 있는 방법을 강구하거나 혹은 고령화 사회가 되지 않도록 출산을 유도하는 정책을 펼치는 것이 중요해요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초고령화 사회를 막기 위하여는

    그만큼 출산율을 높여야 하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