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경제

경제용어

깨끗한오색조199
깨끗한오색조199

비둘기, 매파라는 것이 어떤 현상을 말하는 건가요?

비둘기, 매파라는 것이 어떤 현상을 말하는 건가요?

동물을 비유하는 말들이 많네요~~

우리나라에서만 쓰는 표현인가요?? 비둘기와 매라는게 어떤걸 말하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영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비둘기"와 "매"는 통화 정책에 대해 서로 다른 견해를 가진 연방 준비 제도(Fed) 내의 서로 다른 파벌을 설명하는 데 사용되는 용어입니다.

    "비둘기파"는 저금리에 초점을 맞추고 경제 성장을 자극하기 위한 보다 확장적인 접근 방식을 통해 보다 완화적인 통화 정책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는 연준 관리입니다. 그들은 인플레이션을 통제하는 것보다 성장과 고용을 우선시하는 경향이 있으며 경제를 부양하기 위해 더 오랜 기간 동안 금리를 낮게 유지하려고 할 수 있습니다.

    반면 "매(Hawks)파"는 인플레이션 통제에 초점을 맞추고 경제 성장 촉진에 덜 중점을 둔 보다 제한적인 통화 정책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매파는 장기간 동안 금리를 낮게 유지하는 데 더 신중한 경향이 있으며, 경제를 둔화시키더라도 인플레이션을 억제하기 위해 금리를 인상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연준의 통화 정책 결정은 12명의 위원으로 구성된 그룹인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이루어지며, 그 중 7명은 연방준비제도이사회 의장이고 5명은 12개 연방준비제도이사회 의장입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이정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매파’(hawk)와 ‘비둘기파’(dove)라는 용어는 이들 새의 이미지가 상징하듯 어떤 현상에 대한 이해 및 입장표명에 있어서 서로 상반된 성향 또는 견해를 가진 정책입안자를 지칭합니다. 정치적인 의미로 사용될 때 ‘매파’는 강경파, ‘비둘기파’는 온건파를 의미하지만 최근 언론에서 자주 접하게 되는 ‘매파’와 ‘비둘기파’는 주로 통화정책의 관점에서 사용되고 있어 조금 다른 해석이 필요합니다. 중앙은행의 통화정책은 주로 기준금리의 변경을 통해 이루어진다. 경기가 과열되거나 과도한 유동성으로 인플레이션, 자산가격 버블 및 과다한 부채 증가 등이 우려되는 경우 중앙은행은 선제적으로 기준금리를 올려 시중금리가 함께 상승하도록 유도하는 긴축적 통화정책을 쓰게 됩니다. 반면 경기 침체 및 디플레이션이 우려되는 경우에는 금리를 인하하거나 금융자산을 직접 매입하는 등의 방식으로 시중에 풍부한 유동성을 공급하는 완화적 통화정책을 쓰게 됩니다.

    중앙은행은 중장기적인 관점에서 경제성장과 인플레이션을 모두 안정적으로 유지할 책무가 있는데, 이를 동시에 달성하기 어려울 경우 과연 어느 쪽에 정책의 우선순위를 두어야 하는지 정책입안자간 대립하게 됩니다. 이때 상대적으로 중장기 인플레이션 관점에 보다 역점을 두고 긴축적으로 통화정책을 운용하려는 입장이 매파로 분류되고, 경제성장세 확대·유지 필요성에 치중하여 보다 완화적인 통화정책을 수행하고자 하는 입장이 비둘기파로 분류되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비둘기파와 매파와 같은 경우 베트남 전쟁에서 유래되었습니다.

    비둘기파 - 금리를 인하하여 경기를 부양하자는 주장

    매파 - 금리를 인상하여 경기 등의 과열을 막자는 주장으로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