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환자끼리 같은방 사용해도 되나요?
코로나 확진되면 자가 격리하는데 동거가족이 시간차 코로나 확진시 확진자들은 같은 방에서 격리해도 되나요?
격리해제시에는 각자 격리기간에 맞춰 시간차 해제하면 되는건가요?
안녕하세요. 전세이 약사입니다.
확진되신 분들끼리의 격리는 필요없습니다. 확진자들끼리 함께 있다고 회복되던 중에 바로 다시 재감염되고 하는것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같은 공간에서 생활하시다가 격리해제를 각자 확진된 날짜로부터 7일 후에 하시면 되겠습니다.
저의 답변이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전은영 의사입니다.
코로나 19 확진자끼리는 같은 공간에서 생활하여도 추가 증상이 나타나거나 질환이 악화되지 않습니다. 이미 바이러스에 감염되었기 때문에 더 이상 감염될 수 없기 때문입니다.
코로나 19 확진 7일 후에는 전파력이 없다고 판단하므로 각자 격리해제 시점에 맞추어 해제하지면 되겠습니다.
궁금증 해소에 저의 답변이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이경미 약사입니다.
코로나에 걸려있다면 걸려있는 분들끼리 같은 곳에서 격리해도 될것 같습니다.
격리해제는. 각각 하시면 될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수재 약사입니다.
가족 중 여러명이 코로나에 감염된 경우 같이 격리를 해도 괜찮습니다.
코로나에 이미 감염되었기 때문에 상호 감염을 일으키긴 어렵습니다.
완치되면 몸에 항체가 생겨서 확진자와 같이 생활해도 괜찮습니다.
안녕하세요. 송정은 약사입니다.
코로나 확진되면 자가 격리를 하다가 동거가족이 시간차 코로나 확진시 확진자들은 같은 방에서 격리해도 문제가 되지는 않으나 만약 서로 다른 변이 바이러스에 감염이 된 경우 전염의 우려가 있기에 가능한 따로 분리하여 지내길 권장드리며 격리해제시에는 각자 격리기간에 맞춰 시간차 해제를 하게 됩니다.
안녕하세요. 김창윤 의사입니다.
자가격리하는 중 다른 동거가족이 걸린 경우는 같은 바이러스에 의한 감염으로 서로간에는 따로 격리하실 필요는 없습니다.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정진석 치과의사입니다.
동거가족인 경우에는 어쩔 수 없이 같은 공간에 격리를 할 수 밖에 없습니다. 다만 방이 많거나 다른 곳에 거주할 수 있다면 최대한 물리적인 거리를 두는 것이 좋습니다. 같은 공간에 격리를 한다면 격리가 늦게 해제되는 사람을 기준으로 격리를 해제 하는 것이 안전할 수 있다고 보여집니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안녕하세요. 조영지 약사입니다.
가장 좋은 것은 따로 격리를 하는 것입니다. 다만 여건 상 따로 격리를 하지 않는다면 같은 방에서 격리를 할 수 밖에 없습니다. 시간차를 두고 해제하기보다는 늦게 격리된 사람을 기준으로 모두 같이 격리를 해제 하는 것이 안전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가급적이면 다른 방에 격리를 권해드립니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안녕하세요.
네 같은 감염 확진자의 경우, 같은 방에서 격리가 가능합니다. 이는 다른 질병도 마찬가지이며
결핵이 확진된 분들은 같은 방에서 격리를 하듯이 다른 날짜에 확진이 되어도 확진자분들은 같은
공간에서 생활이 가능하여 생활치료센터 역시 같은 기준으로 격리 치료를 하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이진성 약사입니다.
걑은 바이러스에 중복으로 감염이 되거나하지는 않습니다. 다만 환기와 거리유지등은 하시는걸 권장드립니다ㅡ
안녕하세요.
네 같이 확진되면 같이 격리하셔도 됩니다. 각자 시간에 맞게 해제도 해주시면 되고요. 물론 격리해제 뒤에도 2~3일 정도는 추가로 조심해주시는게 좋긴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윤기 약사입니다.
코로나 확진시 확진자는 자가격리를 해야하며 동거인들과도 되도록 생활이 겹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되도록 다른 방을 사용하는 것을 권장하며 격리해제가 되면
다음날 동거인 가족은 코로나 검사를 다시 한번 진행해주시는 것을 권장하며
잠복기가 3~5일정도이기에 일상생활시에도 주의를 해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안녕하세요. 최병관 의사입니다.
일반적으로 확진된 후에는 백신 접종처럼 항체가 형성됩니다. 백신 접종 후에 항체가는 대략 3개월에 최고치를 찍고 6개월에 최저치를 기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확진자도 이와 유사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러므로 수개월 동안은 같은 변이에는 재감염의 가능성은 낮습니다. 하지만 서로 다른 변이의 경우 생성된 항체를 회피하여 재감염 시킬 수 있습니다. 현재 가족끼리는 밀접접촉자로 같은 변이에 감염되었을 가능성이 매우 높으나 이론적으로는 가능하다면 개별 격리를 하는 것이 보다 안전할 수는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명훈 의사입니다.
동거 가족끼리 확진이 된 것이라면 같은 변이 바이러스에 감염이 되었을 가능성이 높기에 같이 격리를 해도 됩니다. 격리 해제시에는 각자 격리 기간에 맞춰서 해제하시면 됩니다.
안녕하세요. 강성주 의사입니다.
격리기간 동안 다른 가족분 확진시 함께 격리를 하시면 되고, 시간차 대로 격리해제 또한 하셔도 됩니다.
하지만 감염되지 않은 다른 분들은 화장실 까지 따로 쓰시면서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서민석 의사입니다.
시간 차이가 있다고 해도 코로나 감염자들은 같이 생활해도 문제가 없습니다. 해제가 되는 경우에는 각자 해제해도 상관없고 해제이후에는 바로 재감염이 되지 않으니 같이 지내셔도 문제 없습니다.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에 감염된 상태에서는 이미 감염이 된 상태이기 때문에 새롭게 감염이 될 일이 없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감염자들끼리는 같은 방을 사용하여도 무방합니다. 격리 해제 또한 각자 격리 기간에 맞춰 해제하면 됩니다.
안녕하세요. 송우식 치과의사입니다.
코로나 확진되면 자가 격리하다가 다른 동거가족이 확진이 된 경우 확진자들은 같은 방에서 격리보다는 분리하길 권하며 격리해제도 7일이 먼저 된 가족이 해제가 먼저 가능합니다.
확진자들도 각자 따로 격리해야 합니다.
물론 시간차가 나고 먼저 격리 해제가 된 분이 항체가 있으므로
재감염되거나 할 가능성은 현저히 떨어지지만
변이등 차이가 있을 수 있으므로 각자 따로 격리하는 것이 원칙입니다.
안녕하세요. 김경태 의사입니다.
네 환자끼리는 같은 방을 사용해도 됩니다.
어차피 환자끼리 재감염을 일으키지는 않습니다.
재감염은 3개월이 지나서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