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는 왜 눈이 잘 안올까요?
대구 인근에 사는데 이 지역에서는 겨울에 눈을 보기가 정말 힘들어요.. 어쩌다 한번 가뭄에 콩나듯 눈이 오긴하는데 흩날리다 사라지는 눈 정도로만 내리고 쌓이는 눈은 몇년에 한번 봅니다
대구에 눈이 잘 안내리는 지리적 과학적 특징이 있는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
대구의 경우 분집니다. 여름에는 마치 동이그릇같은 지형때문에 뜨거운 바람이 나가질 못하고 안에 가득 차 무척 덥고 겨울에는 찬 공기가 나가질 못해 춥습니다.
대구가 눈이 안오는게 아닙니다. 오히려 여수, 제주(고층제외)거제, 부산이 더 안옵니다.
그리고 우선 남부지방에도 눈이 오려면 서쪽에서 기압골이 접근해야 되는데 약한 기압골의 경우 중부지방 호남지방에만 다 뿌리고 그냥 사라집니다. 그러나 강한 기압골은 좀처럼 나타나지 않습니다.
다만, 남부지방의 따뜻한 공기와 북쪽에서 접근하는 차가운 공기가 만나면 기온차때문에 눈구름이 강하게 형성될때 간혹가다 몇십년만에 부산같은곳에 폭설이 내리기도 합니다. 이때는 대구에도 많이 내립니다.
대구에 눈이 내리지 않는 이유는 대구가 분지 지형이기 때문입니다.
대구의 주변에는 바다가 없이 모두 육지에다가 주변이 산으로 둘러쌓여 있습니다.
이러한 지형적 조건이 열을 가두기 때문에 여름에는 대구가 뜨겁고,
겨울에는 차가운 바람을 막는 영향이 있어 눈이 잘 내리지 않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