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화학

진기한황새230
진기한황새230

수술할때 마취제의 원리는 무엇인가요?

병원에서 자주 사용하는 마취제를 맞을 경우에는 수술시 통증을 없애주는데요. 어떤 원리로 마취작용을 하여 통증을 없애주는건가요??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마취제의 작용 원리에 대한 설명은 신경생리학과 약리학의 복잡한 상호작용을 통해 이해할 수 있습니다. 전신 마취제는 환자를 완전히 의식 없는 상태로 이끌어 수술 중 발생할 수 있는 통증과 기억을 차단합니다. 이러한 약물들은 주로 신경전달물질의 활성을 조절하여 신경계의 활동을 억제함으로써 작동합니다. 예컨데, 프로포폴(Propofol)과 같은 정맥 마취제는 감마-아미노부티르산(GABA, γ-Aminobutyric acid) 수용체의 활성을 증가시키는 방식으로 신경세포의 과도한 흥분을 억제합ㄴ디ㅏ. 이는 수용체가 열리게 함으로써 세포 내로 클로라이드 이온(Cl⁻)의 유입을 증가시켜 신경세포의 막 전위를 하향 조절하고, 결과적으로 신경세포의 활성을 억제하는 효과를 낳습니다.
    또한, 이러한 마취제들은 통증 신호가 뇌로 전달되는 경로를 차단하거나 둔화시킴으로써 통증의 인지를 방해합니다. 이 과정에서 신경전달물질의 릴리스, 수용체의 감응성 조절및 이온 채널의 동작 등 여러 수준에서의 조절이 이루어집니다. 따라서, 마취제는 복합적인 메커니즘을 통해 통증의 전달과 인식을 효과적으로 차단하여, 수술을 받는 환자가 통증을 느끼지 않도록 합니다. 이는 마취학에서 중요한 부분으로, 수술의 질을 결정하는 결정적인 요소 중 하나입니다.

    1명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