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역사

귀여운팬더곰238
귀여운팬더곰238

사우디아라비아는 언제부터 히잡문화가 있었던건가요?

우리나라에 유학을 온 사우디 여성분은 한국에서도 히잡을 벗지 않고 쓰고 다니시던데 사우디는 이런 히잡을 언제부터 하기 시작했었던 것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이슬람교가 태어나기 이전, 현재 사우디아라비아가 있는 아라비아 반도 지역은 소수의 부족들이 살아가고 있는 사막 지대였습니다. 그러던 중 이슬람교의 선지자 무함마드가 571년에 메카에서 태어났고, 7세기 초 경에는 무함마드가 자신이 신의 계시를 받았다고 주장하며 아라비아 반도의 다양한 부족들을 통일하고 동일한 이슬람교 공동체를 창조해내었습니다. 632년에 무함마드가 세상을 떠난 이후, 무함마드의 후계자들은 세력을 급격히 확장하여 서쪽으로는 이베리아 반도에서 동쪽으로는 파키스탄까지 수십년 만에 빠르게 영토를 늘리었다. 아라비아는 얼마 지나지 않아 무슬림 세계의 정치적, 종교적인 중심으로 떠올랐으며, 이슬람교는 이에 힘입어 세계 곳곳으로 빠르게 퍼져나갔다고 합니다.

      역사적으로 히잡은 이슬람뿐만 아니라 유대교, 기독교, 힌두교, 조로아스터교같은 주요 종교에서도 의무적으로 착용되어 왔으며

      무슬림 여성의 히잡만 대중적으로 알려진 것은

      사우디아라비아, 1980년대 이후 이란 정부가 히잡을 쓴 무슬림 여성만 부각하도록 서양에 로비를 벌인 결과라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히잡의 현대에 히잡을 강제적으로 입게 하는 나라는 사우디아라비아와 이란, 두 나라 뿐이라고 합니다. 다른 무슬림 다수 국가에서는 히잡을 착용하는 것이 선택에 달려있지만, 지역과 문화에 따라 사실 의무적인곳도 있고 대부분 착용 하지 않는 곳도 있다고 합니다. Aslan은 무슬림 여성들이 이슬람에서 "신자들의 어머니"로 존경받는 무함마드의 아내를 모방하기 위해 히잡을 착용하기 시작했다고 제안하며 "서기 627년경까지는 베일을 쓰는 전통이 없었다"고 말하는 것으로 추정해 7세기 부터 히잡 문화가 마나탄 것으로 추정 됩니다.

    • 안녕하세요. 양미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여성의 옷차림에 대한 엄격한 규정은 이슬람교가 발흥한 7세기 이전의 아랍 사회에서 비롯된다. 당시 아랍에서는 유목민 부족들 간의 크고 작은 전쟁이 잦았다. 적의 침입이 있을 때면 특히 여성의 피해가 컸기에 이떄부터 시작되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물론 이전에 이슬람교의 창시자 무함마드(Muhammad)와 이슬람 율법학자들 역시 ‘손과 얼굴을 제외한 모든 부분’을 감추어야 한다고 규정했다. 더 완고한 무슬림은 여성이 얼굴마저 가려야 한다고 주장하였습니다.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히잡은 햇볕과 바람을 피하기 위한 고대 메소포타미아 지방의 풍습에서 유래되었고 국가가 형성되고 점차 가부장적 권력이 강화되면서 여성의 베일이 제도적으로 사용되었습니다.

      이슬람교가 발흥한 7세기 이전 아랍 사회에서는 유목민 부족들간의 크고 작은 전쟁이 잦았고, 그 과정에서 여성들이 성적 도구로 유린당하고 노예로 팔려가는 일이 많았으므로 사회에서 여성을 보호하기 위해 여성의 옷차림을 엄격하게 규제, 규제에 따라 여성들은 남성들에게 성적 매력이 드러나지 않도록 옷을 입어야했고 그 결과 차도르, 니캅, 히잡을 착용하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