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새는 V자 비행을 합니다. 그러면 뒤에 따라오는 철새는 힘이 들든다고 하죠.
철새는 V자 비행을 합니다. 그러면 뒤에 따라오는 철새는 힘이 들든다고 하죠.
왜 뒤에 따라오는 철새는 힘이 덜할까요?
힘이 덜드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철새들이 V자 비행을 하는 이유는 서로에게 저항을 줄여주고 에너지를 절약하기 위해서입니다. 앞에 위치한 철새는 공기 저항을 줄이기 위해 바람을 가르며 비행을 하기 때문에, 뒤에 따라오는 철새들은 앞에 있는 철새의 날개에서 만들어지는 기류를 이용하여 공기 저항을 줄일 수 있습니다.
이 기류를 이용하는 것은 뒤에 따라오는 철새들이 앞에 있는 철새보다 적은 에너지를 사용하면서도 같은 속도로 비행할 수 있게 합니다. 이러한 협동 비행으로 인해 모든 철새들이 적은 에너지로 더 먼 거리를 비행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뒤에 따라오는 철새는 앞에 있는 철새의 기류를 이용하여 비행을 하기 때문에 힘이 덜 들게 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행복한 하루 되세요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철새들이 V자 형태로 비행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공기 저항 감소: V자 형태로 나열된 철새들은 앞서 나가는 철새가 만든 공기 저항을 뒤 따라오는 철새들이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함으로써 뒤 따라오는 철새들은 공기 저항이 적어져서 에너지를 덜 소비하면서 비행할 수 있습니다.
에너지 효율 증가: 철새들은 대부분 장거리 비행을 해야 하기 때문에, 비행 중에 에너지를 아낄 수 있는 것이 중요합니다. V자 형태로 비행하면 앞서 나가는 철새들이 바람을 뚫고 비행하면서 생기는 공기 뒤풀이를 이용하여 뒤 따라오는 철새들의 비행 에너지 소비를 줄여주므로 전체적으로 비행 에너지 효율이 향상됩니다.
따라서 V자 형태로 비행하면서 앞서 나가는 철새들이 만들어내는 공기 저항을 이용하여 뒤 따라오는 철새들이 에너지를 덜 소비하면서 비행할 수 있습니다. 이것이 뒤에 따라오는 철새들이 힘이 덜 드는 이유입니다.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가장 맨앞에 있는 개체가 먼저 공기저항을 받고 그 뒤에 새들은 약간이나마 줄어들은 공기저항을 받기때문입니다.
마치 쇼트트랙을 할때 전략적으로 1등을 계속하며 달리지않고 후방에서 힘을 비축하다가 마지막에 강한힘으로 역전을 꾀하는것처럼요.
선두주자는 공기저항을 온전히 받게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김경욱 과학전문가입니다.
철새들이 V자 모양으로 비행하는 것은 공기 저항을 줄이기 위해서입니다. 이 때, V자 모양으로 비행할 때는 각 새가 전후로 살짝 겹쳐지는데, 이를 "연속적인 추진"이라고 합니다.
뒤에 따라오는 철새는 앞쪽 철새가 만들어낸 연속적인 추진을 이용해 공기 저항을 줄일 수 있습니다. 즉, 앞쪽 철새가 만들어낸 공기 흐름을 뒤쪽 철새가 이용하면서 비행에 필요한 에너지를 덜 소비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철새들이 앞새의 날개 끝에서 날면 쉽게 날수있는데 그 이유는 날개 끝부분에 상승기류가 일어나는데 그것을 타고 가면 쉽게 날수 있습니다
그래서 새들이 앞에 있는 새들의 상승기류를 타기위해 날개 끝으로 가다보니 자연스럽게 V자 대형을 만들게된겁니다
안녕하세요. 설효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새들이 V자 비행을 하면 앞새가 날개짓을 상하로요동치는 난기류가 발생합니다. 이때 하강기류와 상승기류가 번갈아 가는데 뒷새에게 난기류가 갈때 쯤에는 상승기류가 되면서 뒷새의 날개짓에 양력을 추가하게 된다고합니다. 그래서 뒷새가 힘이 덜든다고 합니다.
안녕하세요. 김태경 과학전문가입니다.
새들이 줄지어 비행하면 앞에 있는 새가 공기저항을 제일 많이 받게 되어 힘듭니다
상대적으로 뒤에오는 새는 공기저항을 덜 받아서 힘이 덜 드는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원형석 과학전문가입니다.
모든 철새들이 V자형태의 비행을 하지는 않습니다.
거의 반반정도입니다.
무리를 이뤄 이동하는 철새들이 주로 V자대형을 이루는데요,,,,
의외의 경우로는 고방오리나 가창오리등을 들수가 있는데 이들은 아주 큰 대형무리를 이뤄 이동합니다.
제비,찌르레기,콩새등은 V자 대형을 이루지 않습니다.
그리고 의외로 각 개별행동으로 이동하는 새들이 매우 많습니다.
그렇게 개별적으로 이동하는 새로는 논병아리, 제비, 꾀꼬리, 개고마리, 뜸부기등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강상우 과학전문가입니다.
V자 비행을 하는 철새는 서로 균형을 맞추기 위해 앞선 철새의 후미 부분에서 발생하는 상승 기류를 이용합니다. 이 상승 기류를 이용하면 앞선 철새의 날개판이 만들어내는 공기의 압력이 적어져서 뒤따르는 철새가 비교적 적은 힘으로 비행할 수 있게 됩니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뒤따르는 철새는 앞선 철새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은 힘으로 비행을 할 수 있으므로, 앞선 철새보다 더 많은 체력을 보존할 수 있게 됩니다. 그러나 철새의 순서가 변경되면서 철새들이 번갈아가며 앞, 뒤를 바꾸는 경우도 있으며, 뒤따르는 철새가 더 많은 힘을 들여야 하는 경우도 있을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철새들은 V자 모양으로 나란히 날아가면서 서로 도움을 주고 받습니다. 철새가 날개를 펼쳐 비행하면 날개 아래쪽에서는 기류가 발생합니다. 이 기류는 날개 아래쪽에 있는 공기가 날개 윗면보다 빨리 흐르기 때문에 생기는 것입니다. 이러한 기류는 철새의 비행에 필요한 추진력을 얻는 데 도움을 줍니다.
뒤에 따라오는 철새는 앞의 철새들이 만든 기류에 대해서는 뒤에서 덜 받기 때문에 힘이 덜 듭니다. 이는 앞쪽 철새들이 만든 공기 저항을 줄여주기 때문입니다. 또한, V자 모양으로 날아가면 철새들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날개짓을 하기 때문에, 앞쪽 철새들의 기류가 뒤쪽 철새들의 비행에 도움을 주는 것입니다.
이렇게 철새들이 함께 날아가면서 도움을 주고 받는 것은 철새들이 긴 여행을 할 때 중요합니다. 철새들은 긴 여행 중에 피로와 굶주림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서로 도움을 주고 받아서 체력을 아끼고 먹이를 찾을 수 있는 지역까지 도달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