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회로 내의 전위차가 궁금합니다.
전원장치가 1.5v 라고 할 때 전원 장치의 양극과 음극의 전위차는 1.5v라는 것은 이해하겠습니다.
양극에서 음극으로 갈수록 전위차가 줄어드는 것으로 이해했는데 , 책에는 A지점과 B지점의 전위가 1.5V로 같고 전위차는 0이라고 되었있더라구요.그리고 그림의 저항 표시의 양끝 사이의 전위차가 1.5vf라고 설명이 되어있는데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
만일 그림속의 저항이 없이 도선으로만 연결되어있다면 도선 내의 모든 점의 전위가 1.5V이고 전위차는 0이라는 의미로 받아들여야 하나요 ? 그러면 전원 장치의 양극 사이의 전위차가 1.5v 라는 것과 모순되는 것 같은데 .....
제가 이해한 것을 정리하면
1. 전원장치는 전위차를 만들어서 도선 안에서 전류를 흐르게 한다.
2. 전원장치가 1.5v 라는 것은 양극과 음극의 전위차가 1.5.v 임을 의미한다.
3. 전류는 전위가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흐른다.
4.도선 안에 전류가 흐른다는 것은 전위차가 있다는 의미이다
5.A지점과 B지점에도 전류가 흐를 것이니 전위치가 존재한다. 3번과 연결하면 B지점의 전위가 A지점의 전위 보다 높다.
가능한 쉽게 설명해 주시면 고맙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유순혁 전문가입니다.
전원장치가 1.5V라는 것은 양극과 음극의 전위차가 1.5V임이 맞습니다!
도선이 연결되어 있을 때, 도선 내의 모든 점은 동일한 전위를 가지므로 전위차는 0V입니다.
또한 그림과 같이 A지점과 B지점이 모두 도선에 연결되어 있다면 이 두 지점의 전위는 같고, 전위차가 없습니다.
그러나 저항이 있을 경우, 저항 양 끝에서 전위차가 발생하여 전류가 흐르게 되므로 이 경우 저항을 지나면서 전위가 줄어든다고 이해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강세훈 전문가입니다.
전원장치의 1.5V는 양극과 음극 간 전위차입니다. 도선 내 전위는 동일해 전위차는 0V이며,
저항이 있으면 저항 양 끝에서 전위차가 발생해 전류가 흐릅니다.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