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미술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프리다 칼로 초현실주의 요소를 담은 작품

프리다 칼로는 초현실주의 요소를 담은 작품을 많이 그렸지만, 스스로는 초현실주의 화가라고 생각하지

않았다고하는데 왜그런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장서형 전문가
    장서형 전문가
    조선대학교 만화애니메이션과

    안녕하세요. 장서형 전문가입니다.

    프리다 칼로는 자신의 작품이 초현실주의라고 평가받는 것에 대해 반발했다고 하는데요. 작품에 비현실적인 요소가 포함되어 있지만, 그것은 자신이 고통과 현실을 진솔하게 표현한 것이라고 주장, 가령 자화상에 있어서도 본인의 내면을 탐구한 것이라고 얘기를 했다고 합니다.

    또한, 기본적으로 그당시 초현실주의 작품은 주로 상상이나 무의식의 주제를 다룬다면, 프리다 칼로의 경우 주로 자신의 개인적인 경험과 내면의 고통 등을 중심적으로 그렸다는 차이점도 있는데, 그녀 자신도 자신의 작품이 초현실적이긴 하나, 초현실주의와는 다른 맥락에서 이해되길 바랬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윤지혜 전문가입니다.

    프리다는 종종 초현실주의적 요소를 담은 작품을 많이 그렸습니다. 그녀의 작품은 종종 꿈과 환상, 비현실적인 이미지, 기이한 상징들을 포함하며, 이러한 요소들이 초현실주의 화가들과의 연관성을 떠올리게 합니다. 예를 들어, 프리다의 자화상들은 종종 그녀의 내면의 고통, 정체성의 혼란, 육체적인 고통을 극단적으로 시각화하여 현실과 비현실의 경계를 넘나드는 느낌을 줍니다.하지만 프리다는 초현실주의를 자신의 스타일로 정의된 예술적 접근법이라고 보지 않았습니다. 초현실주의는 대개 꿈, 무의식, 억압된 감정의 자유로운 표현을 강조하는 예술 사조로, 프리다는 그것이 그녀의 예술적 목표와는 다르다고 생각했습니다. 프리다 칼로는 여러 차례 인터뷰에서 자신은 초현실주의 화가가 아니라고 언급했습니다. 가장 유명한 발언 중 하나는 1940년, 초현실주의의 창시자와의 대화에서 나온 것입니다. 브르통은 프리다의 작품을 초현실주의적이라고 칭하며, 그녀가 초현실주의의 일원으로 받아들여지기를 원했지만, 프리다는 그 말을 단호하게 거부했습니다.

    프리다가 "나는 초현실주의자가 아니다. 나는 내가 꿈꾸는 것을 그린다. 나는 그저 나의 현실을 그린다."라고 말한 것처럼, 그녀는 자신의 작품이 현실과 무의식, 꿈의 경계를 넘나드는 개인적인 경험을 반영한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그녀는 자신의 내면적 경험과 개인적인 고통, 문화적 뿌리, 자신의 몸에 대한 인식을 예술로 풀어내었지, 초현실주의의 이론적 틀 안에서 작업했다고 보지 않았습니다. 따라서, 초현실주의적 기법을 사용했더라도,

    프리다 칼로는 자신의 내면적 세계와 감정을 사실적으로 드러낸 예술가로서 초현실주의 화가의 범주에 포함되기보다는 자기 자신만의 독특한 예술 세계를 구축한 화가로 평가됩니다.

    어떻게.. 프리다 칼로의 성향에 대해서 이해가 되셨는지요?..

    참조가 되셨기를 바라며 이만 줄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