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투세는 모든 금융상품에 적용되나요?
금투세는 주식외에 다른 금융상품에 적용되나요? 예를 들어 채권이나 펀드 . 예적금. 코인등도 종합해서 금융소득에 포함해서 과세하나요?
안녕하세요 순수한스라소니282님^^
금투세는 금융상품으로 금융위에 등록되어 있는 모든 상품이 해 당이 됩니다. 그래서 주식, 채권, 펀드, 예적금, ETF 모두 싹 포함이 됩니다.
하지만 금투세법에는 "코인"은 제외 되어 있습니다. 그 이유는 아직 "가상자산"은 금융상품으로 분류 되어 있지 않기 때문 입니다. 그래서 "코인"은 기타과세로 분류 되어 더 큰 세금을 내야 합니다.ㅠㅠ
답변이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 추천 부탁 드립니다.
금융투자소득세란 주식·채권·펀드·파생상품 등에 투자해 얻은 이익이 일정 금액을 넘으면, 초과한 소득의 20~25%만큼 부과하는 세금을 의미합니다.
펀드 등에는 적용되나 코인은 별도로 코인 과세가 이루어질 예정입니다.
✅️ 금융투자소득세는 주식, 채권, 펀드, ETF 등 금융투자상품에 대해서 적용되게 되고, 코인의 경우 별도로 '코인 과세'를 통해 금투세가 아닌 기타소득세(22%)로 과세할 예정에 있습니다. (* 둘다 2025년 1월 시행 예정입니다. )
이번에 금투세가 시행된다면 핵심적으로 적용되는 부분 특히 과거와 실질적으로 달라지는 부분은 국내 주식과 코인 분야입니다. 국내 주식은 기존에 세금이 없었는데 5000만 원 이상 수익에 대해서는 세금이 부과되고 코인은 250만원 이상 수익에 대해서 22% 세금이 부과됩니다. 이것이 핵심입니다
안녕하세요
현재로는 펀드,채권, 주식이 포함되어 있고 예적금이나 코인은 별개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코인은 내년 1월1일 부터 250만원을 초과한 수익에 대하여 22%의 양도소득세를 부과할 예정에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금투세와 같은 경우에는 주식을 포함하여 채권, 펀드 등 모든 항목이 포함된 것이나 코인과 같은 경우 현재까지는 여기에 포함된다고 보기는 어렵습니다.
금투세는 주식뿐만 아니라 채권, 펀드 같은 여러 금융상품에 적용됩니다. 예적금이나 암호화폐는 금투세 대상에 포함되지 않지만 채권과 펀드에서 발생하는 소득은 금투세가 부과됩니다. 2025년부터 시행될 예정인 금투세는 국내 주식 소득이 연간 5천만 원을 초과하거나 해외 투자 소득이 연간 250만원을 초과할 경우 초과 부분에 대해 세금을 부과합니다.
금융투자상품에 대해 적용됩니다.
주식: 매매차익
채권: 이자 및 할인매매에 의한 이익
펀드: 환매차익
파생상품: 선물, 옵션 등 파생상품의 거래이익
즉, 예적금은 무관합니다.
코인은 금투세와는 별개로 별도의 세금이 부과될 예정입니다.
채권, 펀드, 예적금, 코인 등 다른 금융상품에 대해서는 별도의 세금이 부과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채권의 이자소득에 대해서는 이자소득세가 부과되고, 펀드의 수익에 대해서는 법인세 또는 종합소득세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질문해주신 금융투자소득세에 대한 내용입니다.
금융투자소득세는 국내 주식 거래 한정으로 적용되는 과세 항목입니다.
다른 채권, 펀드, 예,적금 그리고 코인과는 무관합니다.
금투세가 시행되게 된다면 금융투자소득이 되는 주식, 펀드, 채권, 파생 상품등에 투자하여 소득이 발생하면 부과하는 세금입니다. 국내상장주식의 경우 수익금 5천만원까지는 공제 이지만 초과분에 대해서 22% 세금이 부과됩니다.
안녕하세요~
금융투자소득세 (이하 금투세)는 2023년 12월 31일 국회에서 통과되었으나, 시행은 2025년 1월 1일로 유예되었습니다. 국회에서 관련 법안 처리 진행을 좀더 지켜봐야합니다. 아직 확정된 사안이 없습니다.
감사합니다.
금융투자소득세는 내년 1월 1일부터 시행 예정인데요.
주식, 채권, 펀드 및 파생상품과 말씀하신 가상화폐까지 포함해서 금융투자상품에 투자해 발생한 순이익에 대해 부과하는 세금인데요.
국내 상장 주식은 5천만원 기본 공제가 적용되고, 장외주식은 250만원이 공제된 뒤 금투세가 부과됩니다.
또, 손실이 크면 이월공제라고 해서 5년간 공제를 적용받을 수 있습니다.
금융투자소득세(금투세)는 주식뿐만 아니라 다른 금융상품에도 적용됩니다. 여기에는 채권, 펀드, 파생상품 등이 포함됩니다. 예적금 이자는 금융투자소득세의 대상이 아니지만, 기존의 금융소득 종합과세 대상이 됩니다. 암호화폐(코인) 거래 소득은 별도의 과세 체계가 적용되며, 일정 금액 이상인 경우 소득세가 부과됩니다.
금투세는 다양한 금융상품에서 발생하는 소득을 종합하여 과세하는 방식으로, 투자자들이 다각도로 관리해야 할 세금 규제 중 하나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