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역사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신라 혜공왕 지진 상황 당시가 궁금합니다

779년 혜공왕때 일어난 지진있잖아요
그때 발생상황이 어땠나요? 전쟁, 부정부패, 왕권 등 사회 분위기가 어땠는지 자료가 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황정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혜공왕당시 매우 사회 분위기가 어수선했기 때문에 지진이 부패한 계층에 대한 하늘의 벌이라 생각하여 민란이 자주 발생했습니다

    • 안녕하세요. 정준영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13년(서기 777) 봄 3월, 서울에 지진이 났다.

      여름 4월, 지진이 다시 발생하였다.

      상대등 양상이 상소하여 시정(時政)을 극렬하게 비판하였다.

      겨울 10월, 이찬 주원(周元)을 시중으로 삼았다.


      十三年 春三月 京都地震 夏四月 又震 上大等良相上疏 極論時政 冬十月 伊飡周元爲侍中


      15년(서기 779) 봄 3월, 서울에 지진이 나서, 민가가 무너지고 사망자가 백여 명이 되었다.

      태백(太白, 금성)이 달에 들어갔다.

      백좌법회(百座法會)를 열었다.


      十五年 春三月 京都地震 壞民屋 死者百餘人 太白入月 設百座法會


      16년(서기 780) 봄 정월, 누런 안개가 끼었다.

      2월, 흙비가 내렸다.

      임금이 어린 나이에 왕위에 올라 장성하자 음악과 여색에 빠져 돌아다니며 노는 것을 절제하지 않았다. 기강이 문란해지니 재난과 이변이 자주 발생하였으므로 인심이 이반되고 사직이 위태로웠다.


      이찬 김지정(金志貞)이 반란을 일으키고 무리들을 모아 궁궐을 포위하여 침범하였다.

      여름 4월, 상대등 김양상이 이찬 경신(敬信)과 함께 병사를 일으켜 지정 등을 죽였다. 임금과 왕비는 난리 중에 살해되었다. 양상 등이 임금의 시호를 혜공왕(惠恭王)이라 하였다. 원비 신보왕후(新寶王后)는 이찬 유성(維誠)의 딸이고 다음 왕비는 이찬 김장(金璋)의 딸이었는데 역사서에는 두 왕비가 궁에 들어온 시기를 기록하고 있지 않다.


      十六年 春正月 黃霧 二月 雨土 王幼少卽位 及壯 淫于聲色 巡遊不度 綱紀紊亂 災異屢見 人心反側 社稷杌陧 伊飡金志貞叛 聚衆 圍犯宮闕 夏四月 上大等金良相與伊飡敬信 擧兵誅志貞等 王與后妃爲亂兵所害 良相等諡王爲惠恭王 元妃新寶王后 伊飡維誠之女 次妃 伊飡金璋之女 史失入宮歲月

      출처 : 원문과 함께 읽는 삼국사기

    • 잘난몽구스218
      잘난몽구스218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자세한 기록은 없으나 당시 사회적 상황을 고려하면 혜공왕 시대는 신라가 국력을 강화하고 왕권을 확립한 시기로, 혜공왕은 신라의 국력을 키우기 위해 국내 개혁과 외국과의 외교를 강화, 이 시기 전쟁이나 부정부패와 같은 사건은 기록되지 않았고 신라의 정치적 안정과 국력강화에 힘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