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성 염기성 알칼리성 좀 설명해주세요
한창 과학 공부를 하고 있는 중학생입니다
과학책에 산성 염기성 알칼리성이라는 단어들이 나오는데
인터넷에 검색하니 pH 농도니 뭐니 별로 이해하는데 큰 도움이 되지는 않았습니다
중학생이 이해할만한 정도로 설명 해주신다면 감사하겠습니다
안녕하세요. 김태헌 과학전문가입니다.
음 일반적으로 수소이온의 농도에 따라 나누는 편이고요 ^^
수소이온의 농도가 10^-7 보다 초과면 산성 그 보다 미만이면 염기성
딱 그농도면 중성입니다.(물론 이것은 몰농도를 기준으로 한 것입니다.)
그냥 단순히 생각하시고 숫자상의 문제라고 생각하세요 ^^
아 그리고 물의 수소이온농도가 딱 저 수치입니다. 물이 우리 일상에서 가장 흔하고 우리
몸이 물에 적응이 되어있기 때문에 저 수치를 딱 중성으로 정한 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이성현 과학전문가입니다.
쉽게 설명해드리자면, 수용액의 수소이온의 농도 (pH)에 따라 산성, 중성, 염기성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산성은 수소 이온의 농도가 더 많은 용액을 의미하며,
염기성은 수산화 이온의 농도가 더 많은 용액을 의미합니다.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물론이죠! 산성, 염기성, 알칼리성은 우리 주변의 화학 물질들의 성질을 나타내는 용어입니다. 이것들은 pH (피-에이치)라는 척도를 사용하여 표현됩니다.
pH는 0부터 14까지의 숫자로 표시되며, 7을 중립점으로 삼습니다. pH 값이 7보다 작으면 그 용액은 산성이라고 합니다. pH 값이 7보다 크면 염기성이라고 하며, pH 7에서부터 큰 차이가 나지 않는 경우를 중립이라고 합니다.
산성은 물질이 수소 이온 (H+)을 생성하는 경향이 있으며, 염기성은 수산화 이온 (OH-)을 생성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중립 용액은 수소 이온과 수산화 이온이 서로 균형을 이루는 상태입니다.
예를 들어, 레몬 주스나 식초와 같은 물질은 산성 용액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들은 pH 값이 7보다 작아서 물보다 산성입니다. 반면, 비누 물감이나 암모니아 같은 물질은 염기성 용액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들은 pH 값이 7보다 크기 때문에 물보다 염기성입니다.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산성과 알칼리성(염기성)은 화학에서 매우 중요한 개념이며 이들은 물질의 pH를 통해 구분됩니다.
pH는 물질이 얼마나 산성 또는 염기성인지를 나타내는 척도죠.
산성은 물에 녹으면 수소 이온인 H+를 내놓는 성질을 가진 물질을 말하며 수용액에서 pH가 7보다 작을 때 산성이라고 합니다. 산성 물질은 보통신맛을 가지며, 푸른색 리트머스 종이를 붉은색으로 변화시키고, 염기를 중화시키는 등의 성질을 보입니다.
알칼리성은 염기성이라고도 하고 물에 녹으면 수산화 이온인 OH-을 내놓는 성질을 가진 물질을 말하며 수용액에서 pH가 7보다 클 때 염기성이라고 합니다. 염기성 물질은 보통 쓴맛을 내거나 피부에 닿았을 때 미끈미끈한 느낌을 주며, 우리의 주변에서는 비누, 샴푸, 세제, 표백제 등으 가장 대표적인 예입니다.
그리고 pH 7은 중성을 나타내며, 이는 순수한 물의 pH이기도 합니다. 이를 기준으로 pH가 7보다 작으면 산성, 7보다 크면 염기성이라고 합니다. 이러한 산성과 염기성의 개념은 화학 반응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산과 염기는 반응하여 중화되며, 이 과정에서 염과 물이 생성됩니다.
안녕하세요! 손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산성, 염기성, 알칼리성은 물질의 성질을 나타내는 용어입니다. 이 세 가지는 물질의 pH 농도를 나타내는데요. pH 농도는 물질이 산성인지, 염기성인지, 중성인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pH 농도는 0부터 14까지의 숫자로 표현되며, 숫자가 작을수록 산성이고, 큰수록 염기성입니다. 7은 중성을 나타내며, 중성은 산성과 염기성의 중간 정도를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레몬, 오렌지, 포도 등의 과일은 산성 물질이며, 우유, 두유, 물 등은 염기성 물질입니다. 이렇게 물질의 성질을 알아보는 것은 우리가 먹는 음식의 맛을 결정하고, 우리 몸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알아보는 데에도 중요합니다.
산성은 물질이 수소 이온을 만들어내는 성질을 가지고 있습니다. 수소 이온은 H+라는 기호로 나타내며, 이 이온이 많으면 많을수록 물질은 산성입니다. 염기성은 반대로 수소 이온을 받아들이는 성질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래서 염기성 물질은 수소 이온을 받아들여서 OH-라는 기호로 나타납니다. 마지막으로 알칼리성은 염기성과 비슷한 성질을 가지고 있지만, 조금 다릅니다. 알칼리성 물질은 수소 이온을 받아들이는 대신 수산화 이온을 만들어냅니다. 수산화 이온은 OH-와 같은 성질을 가지고 있으며, 이 이온이 많으면 많을수록 물질은 알칼리성입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이충흔 과학전문가입니다.
산성은 수용액에서 수소 이온을 내어놓는 물질로
신맛이나고 수용액에서 전류가 흐릅니다.
또한 푸른색 리트머스종이를 붉게 변화시킵니다.
금속과 반응하여 수소기체를 발생시킵니다.
몀기성은 수용액에서 수산화 이온을 내어놓는 물질로 쓴맛이 나고 미끈거리며 수용액에서 전류가 흐릅니다.
또한 붉은색 리트머스 종이를 푸르게 변화시킵니다.
알카리성은 물에 녹으면 염기성을 나타낸다는 의미로 염기성과 같은 의미입니다.
안녕하세요. 김형준 과학전문가입니다.
수소 이온이 많으면 산성
수소 이온이 적으면 염기성 입니다.
수소이온 = 수소에서 전자 없어져서 양성자 하나만 남은것.
산성 = 양성자가 무수히 많다.
염기성 = 양성자에 비해 전자가 많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