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역사

우람한슴새216
우람한슴새216

부평역이나 여러 지하철역을 보면 과거부터 아주 큰 지하상가가 생겨나게 된걸까요?

1호선의 지하철역을 보면 지하상가가 참 많은데요.

특히 부평역을 보면 지하상가가 매우 넓어 길찾기도 힘든데요. 왜 이런 큰 지하상가가 많은 이유가 무엇인지 알고 싶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황정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부평역 지하상가는 과거 방공호로 계획된 신부평지하상가부터 시작하여 1978년에 영업을 개시했으며, 이후1986년에 부평역 지하상가가 영업을 개시하고 1989년에 부평중앙지하상가가 영업을 개시하는 등 여러 개의 지하상가가 합쳐진 구조입니다.

  • 안녕하세요. 윤지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일반적으로는 지하철역 주변의 인구 밀도나 교통량이 높은 지역에서 지하상가가 발달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부평역은 인구 교통량이 높습니다.

  • 안녕하세요. 양미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그만큼 역에는 유동인구가 많고

    이에 따라서 상권이 형성되어 지하상가가 많았던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지하에 있기 때문에 날씨의 영향을 크게 받지 않고, 지하철역과 지하상가와 연결될 시 충분한 수요가 보장되기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지하상가의 장점은 날씨에 영향을 덜 받는다는 점과 교통사고의 위험이 적다는 것입니다. 하지만 단점으로 화재 홍수 지진에 취약하며 국내 지하상가들은 노후화되어 있다는 점입니다. 대규모 지하상가의 경우에는 구조가 복잡하여 길치들은 한참을 헤매다 고생하기도 합니다. 21세기 들어 많은 지하상가는 민자역사와 함께 들어서는 백화점 같은 대형매장과의 경쟁에서 밀리고 있습니다. 그중에서도 부평역은 단일 지하공간에 가장 많은 점포가 입점한 곳입니다. 세계 기록을 가진 지하상가입니다. 악명 높은 복잡함의 소재로 쓰이기도 합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대한민국 의 지하상가 (또는 지하도상가, 지하쇼핑센터, 지하쇼핑몰)는 1963년 인천 에서 동인천 지하상가 로 명명되고 있지만, 예전에는 흔히 "굴다리"라고 불렸는데 공식적으로는 1967년 12월 서울 에서 시청앞 부근 만들어진 새서울 지하상가 으로 시작한 것이 시초라고 합니다. 시기별로는 1960년대 1곳, 1970년대 21곳, 1980년대 8곳이 각각 지어졌다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