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문
24절기는 왜 음력으로 지내지않을까요?
안녕하세요
오늘이 2월 4일 절기상 입춘입니다
한가지 의문점은 설과 추석등은 음력으로 지내는데
왜? 24절기는 양력으로 지내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24절기는 입춘에서 동지로 끝나는 절기로서 음력이 아닌 양력으로 된 것입니다.
음력의 약점을 보완 한 것 입니다
주로 농사를 짖기 위하여 계절의 정확성을 알려고 절기를 만들었다고 합니다.
계절의 변화를 알기 위하여 만든 24절기 참 유용하게 쓰여집니다.
안녕하세요. 박일권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우선 24절기는 태양의 움직임에 따라 1년을 24개로 나누어 정한 날들입니다.
대한민국에서는 조선시대 무렵부터 도입된 것으로 추정됩니다. 사실 조선시대 이전에는 음력을 중심으로 사용하였습니다. 그런데 음력은 기후와 차이가 크기 때문에 음력 달력만으로는 농사를 짓기 힘들다는 단점이 있었는데, 이를 보완하기 위해 양력의 요소를 도입한 것이 24절기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24절기는 음력이 아닌 양력과 잘 맞기 때문에 양력으로 사용하는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대한민국에서는 조선시대 무렵부터
도입된 것으로 추정된다. 사실 조선시대 이전에는 음력을 중심으로 사용하였다. 그런데 음력은 기후와 차이가 크기
때문에 음력 달력만으로는 농사를
짓기 힘들다는 단점이 있었는데,
이를 보완하기 위해 양력의 요소를
도입한 것이 24절기라고 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24절기는
음력이 아닌 양력과 잘 맞는다.
--자료출처: 나무위키
장도연이 추천하는 아하!
앱으로 편리하게 사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