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심심한호랑이161
심심한호랑이16123.05.18

우리나라 신분제도는 언제 최초로 생기고 없어졌나요?

우리나라 신분제의 시초는 언제 시작되었고 그 신분제는 또 언제까지 유지되다 없어졌는지 궁금합니다

많은 제약이 따르는 신분제는 왜 만들어졌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5.18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고조선때 8조법에 따라 절도 행위를 한 경우 노비로 격하한다는 규정을 갖고 있었고, 이로 말미암아 지배층과 피지배층이 존재했을 거라고 추측되고 있습니다

    그리고 대한제국 1894년 갑오경장으로 형식적으로는 신분제가 완전히 사라졌다고합니다.

    신분제도를 만든이유는 국가나 사회를 구성함에 있어 평등하다는 개념보다는 사람마다 부귀영화가 다르게 주어진다고 여겼기 때문입니다. 나라를 통치함에 왕과 신하가 있고 그 아래 백성과 천민이 존재해서 서로 주어진 역할을 성실히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겼습니다. 왕정국가이기에 신분제도를 명확하게 해서 혹여나 있을 분란의 소지를 사전에 방비하려는 목적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따라서 법으로도 신분고하에 따른 차별을 두어 윗 계급에게는 현 체제를 유지하려는 항상심을 가지게하고 아래로는 위에서 내려오는 령을 따르도록 관습화 시킨 것입니다.


    ​출처 - 나무위키 신분제도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한국사에서 신분제도는 고조선 시대부터 이미 나타나있었습니다. 고조선의 8조법에 따르면 도둑질을 한 자는 노비로 삼는다고 하였습니다.

    갑오개혁 때 법적으로는 사라졌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주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신분제도는 인류가 집단생활을 할 때부터 시작된 것이고 우리나라로 본다면 고조선이 시초겠네요.

    공식적인 신분제도는 조선이 일제에 병합되면서 국권을 상실했으니 조선이 멸망하면서 없어졌다고 봐야 할 것입니다.

    다만 아직도 우리 사회는 비공식적인 신분제도가 엄연히 상존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진광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전통적인 신분제도는 1894년 갑오개혁 당시 입법기관인 軍國機務處에 의해 폐지되었다. 신분제도는 고조선 때부터 존재하였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예슬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자료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신분제는 역사적으로 부족사회의 족장제, 신라의 골품제, 후삼국과 고려 초기의 귀족제, 고려 중기 이후 조선시대의 관료제라는 신분구조가 차례로 존재했다고 합니다.

    그리고 조선의 신분제도는 후기에 접어들면서 사회경제적으로 변동을 겪다가 1894년 갑오경장을 통해 공식적으로 폐지되었다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