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화학

매끈한참고래15
매끈한참고래15

후꾸시마 원전 오염수 방류 관련하여 요즘 많이 스끄러운데...

정치적인 이슈를 떠나 해양,과학적으로 봤을때..

실제 후꾸시마 원전의 오염수가 방류되면 우리나라 대한 해엽이나 동해,서해,남해에 어느 정도 영향을 끼치는지 궁금합니다

또한, 실제로 해양 생물들에게는 어떤 직,간접적인 영향이 있는지도 궁금하구요.

일반국민들은...이런 오염수가 우리 몸에 안 좋다 정도로만 알고 있기에..

어떤 면에서, 얼마나, 어떻게 안 좋은지에 대해서는 잘 모르거등요...

전문가분들의 고견 듣고 싶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튼튼한라마20
      튼튼한라마20

      현재 후쿠시마 원전에서 방류되는 오염수의 영향 범위는 해양학자나 환경학자들 사이에서도 의견이 분분합니다. 일부 연구에 따르면 방류된 오염수는 현재 주변 지역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고 있지만, 일부 지역에서는 적은 수의 해양 생물에게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그러나 해양 생물들이 직접적으로 오염된 물을 마시거나 먹이로 섭취하는 경우가 아니라면 오염물질 농도가 낮아서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렇다면 오염된 물질이 해양 생물에게 미치는 간접적인 영향은 어떤 것이 있을까요? 먼저, 해양 생물들이 오염된 물 속에서 생존하기 위해 에너지를 소모하게 되면서 성장 속도가 느려지거나, 생식력이 감소하는 등의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또한, 오염된 물을 마시거나 먹이로 섭취한 생물이 다른 동물에게 먹히면서 오염된 물질이 상위 포식자들에 농축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하지만, 현재까지 후쿠시마 원전에서 방류된 오염수의 농도는 해양 생태계 전체에 큰 영향을 미칠 정도로 높은 수준은 아니라는 전문가들의 의견이 많습니다. 그러나 오염수 방류가 계속되면서 미

    • 안녕하세요. 박재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일본 후쿠시마 원전에서 나온 오염수가 바다에 방출될 경우 우리나라 해안까지 흘러들어올 수 있다는 우려가 있습니다. 국회입법조사처는 2021년 5월 발간한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해양 방류 영향 및 대응 방안> 보고서를 통해 “다수의 전문가는 오염수가 해류를 타고 이동하며 반감기가 짧은 방사성 물질은 빨리 소멸하고, 반감기가 긴 물질은 1년 이상 바닷물과 희석되면서 우리나라에 해류가 도착할 때쯤엔 유해성이 낮은 상태일 것으로 예상한다”며 “갈치, 고등어, 멸치, 삼치, 꽃게 등 연근해 어업 주요 어종의 산란 및 이동 경로 등 생태 현황과 조업 구역을 고려했을 때 오염수의 직접적인 영향은 매우 낮아 보인다”고 밝혔습니다.


      하지만 해양환경을 보호하고 수산업 등 관련 산업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해양 모니터링 확대, 수산물 원산지 표시제·이력관리제 강화, 식품안전정책위원회 활성화 등의 대책을 통해 과학적 근거를 확보하고 리스크커뮤니케이션 전략을 고도화할 필요가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후쿠시마 원전의 오염수 방류가 우리나라 대한해역에 미치는 영향은 정확하게 예측하기 어렵습니다. 하지만, 해양학자들은 오염수 방류가 바다 생태계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다고 경고하고 있습니다. 특히, 방사성 물질 중 하나인 증기성 요오드-131의 경우, 생태계에 큰 영향을 끼칠 수 있습니다. 이는 해양 생물이 체내에 흡수할 수 있는 물질이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류가 대한해역 전체에 큰 영향을 미칠 가능성은 낮습니다. 이는 방류되는 오염수의 양이 상대적으로 적기 때문입니다. 또한, 방류되는 오염수는 해류와 바람에 의해 희석, 분산되기 때문에 실제로 어느 정도 묽게 희석되고 분산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하지만, 해양 생태계에 대한 직,간접적인 영향은 여전히 우려되고 있습니다. 방사성 물질이 해양 생태계에 직접적으로 노출될 경우, 생물의 생존과 번식, 성장에 영향을 끼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실제 후쿠시마 원전에서 방류되는 오염수는 해양 및 생태계에 많은 영향을 끼칠 수 있습니다. 오염수에는 다양한 핵종이 포함되어 있으며, 이러한 핵종은 해양 생태계에서 생물의 성장, 생식, 면역력 등에 영향을 끼칠 수 있습니다.

      특히, 방사성 핵종 중에서도 Cs-137의 경우, 생물체 내에 흡수되어 농축될 수 있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는 식물이나 조개 등이 바닷물을 통해 Cs-137을 섭취하고, 그 식물이나 조개를 먹는 상위생물에서 농축되어 높은 농도로 존재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이유로, 오염수의 방류로 인한 생태계의 영향은 크다고 예상됩니다. 일본 정부는 오염수 방류에 대한 해양 생태계 영향 평가를 진행하고 있으며, 국제적인 과학자들도 해당 문제를 연구하고 있습니다.

      한편, 인간의 건강에 대한 영향도 무시할 수 없습니다. 일반적으로 핵종이 인체 내에 흡수될 때, 방사선에 의해 세포 손상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 이는 방사선선량과 노출시간에 따라 달라지며, 일정 수준 이상의 방사선 노출이 지속적으로 발생하면 건강상의 문제를 일으킬 가능성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태헌 과학전문가입니다.

      해류가 6개월이면 대한해협을 통과한다고 합니다.



      오염수 안에 반감기가 오랜시간인 물질들이 들어 있습니다.



      일본 입장에서는. 유지비용 대비 버리는 것이 경제적이니 버릴려고 하는 것이죠,




      방사능은 체내에서 몇백년 가는 것도 있어요,



      그래서 위험한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