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고귀한노루163
고귀한노루16323.10.10

북한과 통일은 과연 가능한 미래일까요?

제가 어렸을때만 해도 한민족을 강조하며 남북한 통일을 사람들이 외치곤 했습니다. 하지만 현재 북한의 입장을 보면 불가해보이는데, 과연 통일이 가능한 미래일까요? 만약 가능할 경우 어떤 전략을 써서 접근해야 할 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우선 우리와 너무 비슷했던 1989년 동서독의 통일 과정을 잘 살펴 봐야 합니다. 서독은 아데나워의 ‘힘의 우위’정책, 방향전환을 위한 조심스런 ‘움직임의 정치’, ‘접근을 통한 변화’ : 신동방정책 등을 추진하여 통일을 가속화시켰습니다. 1990년 10월 3일, 동독 의회는 서독에 흡수되는 흡수 통일에 동의하였고, 1990년 7월 1일 경제통일이 실시되어 서독의 독일 마르크로 화폐가 통일되었습니다. 그 후에 군사력을 통일 하며 사회 전반적인 시스템을 통일 하였습니다. 이렇게 하나 하나 차근 차근 변화를 가져 가야 합니다. 동독과 서독의 완전한 통일에 걸린 시간은 약 20년 이였다고 합니다. 우리도 대한 민국을 기반으로 북한을 흡수 통일 하면서 서두르지 않고 경제, 군사, 정치 등 부분 별 통합이 필요하다고 봅니다.


  •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남한의 과학기술력과 북한의 풍부한 지하자원이 결합한다면 통일 이후 대한민국의 미래는 훨씬 밝아질 것입니다. 양측에서 군사비로 지출하는 비용을 절감하다면 이는 대한민국의 경제력을 한 단계 업그레드 시킬 수 있는 비용으로 사용하여 선진국의 반열에 오르게 될 것입니다. 그러나 통일을 이루지 못하면 여전히 분단국가의 리스크로 해외자본 유치도 힘들고 경쟁력도 약화되는 등 경제성장의 한계를 보이게 될 것입니다. 일단 정치색이 옅은 스포츠와 문화교류를 통해 우호를 증진한 후에 점진적인 통일 문졔로 접근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