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농증 합병증의 종류와 발현까지의 기간이 궁금합니다.
축농증도 그냥 관리안하고 놔두면 실명도 되고 뇌수막염도 생긴다고 들었는데 그거 말고도 어떤 합병증이 있으며 어느정도의 기간을 관리안하고 방치했을때 생기는건지 궁금하고 주기적으로 약을먹는다면 합병증으로부터 자유로울수 있는지도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이호 의사입니다.
축농증은 부비동에 염증이 생겨 분비물이 고여 있는 질환입니다. 축농증은 적절한 치료를 받으면 대부분 완치되지만, 방치할 경우 다음과 같은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안와 내 합병증
안와봉와직염: 안와의 지방 조직에 염증이 생기는 질환으로, 안통, 안구 돌출, 시력 저하 등의 증상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안와 골수염: 안와의 뼈에 염증이 생기는 질환으로, 심한 경우 안구를 손상시킬 수 있습니다.
안와농양: 안와에 고름이 생기는 질환으로, 시력 상실, 안구 실명 등의 심각한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두개 내 합병증
뇌막염: 뇌와 척수를 싸고 있는 막에 염증이 생기는 질환으로, 두통, 발열, 오한, 구토 등의 증상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뇌농양: 뇌에 고름이 생기는 질환으로, 심한 경우 사망에 이를 수 있습니다.
경막하 농양: 경막과 뇌 사이의 공간에 고름이 생기는 질환으로, 두통, 발열, 오한, 구토 등의 증상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기타 합병증
치조골염: 치아 뿌리 주변의 뼈에 염증이 생기는 질환으로, 치통, 발열, 오한 등의 증상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중이염: 귀의 중이에 염증이 생기는 질환으로, 난청, 이명 등의 증상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폐렴: 폐에 염증이 생기는 질환으로, 기침, 가래, 호흡 곤란 등의 증상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축농증의 합병증은 축농증의 원인, 정도, 환자의 건강 상태 등에 따라 발현까지의 기간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급성 축농증의 경우, 치료를 받지 않으면 2~3주 내에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만성 축농증의 경우, 치료를 받지 않으면 수개월에서 수년 내에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축농증의 합병증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급성 축농증의 경우, 항생제와 소염제를 복용하고, 비강 세척을 통해 분비물을 배출하는 치료를 받으면 대부분 완치될 수 있습니다. 만성 축농증의 경우, 약물 치료와 함께 수술 치료를 받는 경우도 있습니다.
주기적으로 약을 먹는다고 해서 합병증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축농증의 치료는 원인이 되는 염증을 제거하는 것이므로, 염증이 완전히 제거될 때까지 약을 복용해야 합니다. 또한, 축농증의 재발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평소에 다음과 같은 예방 수칙을 지키는 것이 좋습니다.
충분한 수분 섭취
흡연, 음주, 스트레스 등의 원인 요인 제거
규칙적인 운동
코를 자주 풀지 않기
비강 세척하기
축농증으로 인해 합병증이 발생한 경우, 즉시 병원을 방문하여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