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생활

생활꿀팁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하늘에 구름이 없을때 파란색으로 보이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제가 있는 이곳은 구름한점 없이 날씨가 맑습니다.

파란 하늘이 보기에도 좋습니다. 하늘은 왜 파랗게 보이는지 갑자기 궁금점이 생겼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바람이Jr.
      바람이Jr.

      안녕하세요. 바람이Jr.입니다.

      하늘이 파랗게 보이는 이유는 태양 빛이 대기를 통과할 때 산란되기 때문입니다. 산란이란 빛이 공기나 물같은 매질을 통과할 때, 빛의 파장이 분산되는 현상을 말합니다.


      태양 빛은 다양한 파장으로 이루어져 있지만, 파란색 빛의 파장이 더 짧기 때문에 공기 분자들과 충돌할 때 더 많이 산란됩니다. 즉, 태양 빛이 대기를 통과할 때 파란색 빛이 더 많이 산란되므로 하늘이 파랗게 보이는 것입니다.


      반면에 일몰이나 일출 시에는 태양의 빛이 대기를 통과할 때 더 멀리 지나가므로 파란색 빛은 대부분 산란되지 않고 다른 색으로 바뀌게 됩니다. 그래서 일몰이나 일출 시에는 붉은색이 더 많이 보이며, 주변의 구름이나 공기도 붉은색, 주황색, 분홍색 등으로 물들어 보이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무지개의 일곱 색 중 빨강 쪽 파장이 길고 보라 쪽 파장이 짧고, 인포그래픽(좌) 햇빛이 대기권에서 산란되어 하늘이 파랗게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