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산뜻한아비34
산뜻한아비3423.01.03

우리나라 신분제도는 언제 없어졌나요?

우리나라 신분제도는 언제 폐지가 되었나요?

완전 초장기때부터 신분제도가 있어서 그 관습 그대로 왔는데 현재 지금은 신분제도라는 것이 없는데 언제 신분제도가 폐지 되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보안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갑신정변과 동학 농문 운동부터 꾸준히 제기를 해서

    갑오개혁에 거의 신분제가 폐지가 되었다고 볼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동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갑오개혁



    1884년 김옥균, 박영효, 홍영식 등 급진 개혁파가 일으킨 정변으로 일본세력을 이용하여 청나라의 간섭을 물리치고,근대적인 혁신 정부를 세우려는 목적으로 급진적인 개혁을 시도하려 하였으나 실패 하였다.


    임오군란때 청나라의 도움으로 정권을 다시 잡은 민씨 세력은 친청 사대 경향을 띄게되고, 청나라는 이때부터 조선의 내정에 깊이 간섭하게 된다. 이에 불만을 가진 사람들이 김옥균, 박영효, 홍영식, 서재필 등 젊은 개혁파가 주측이 되어 청나라의 간섭을 물리치고 근대문명을 적극적으로 받아들여 근대국가를 이룩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그러나 민씨 세력은 청나라에 의존하여 서양 문물을 서서히 받는다는 온건 개화파와 손을 잡고 이들의 주장에 반대 하였다. 이에 급진 개혁파는 하루속히 근대화를 이룩하여 열강과 대등한 나라가 되기 위해서는 정변을 일으킬 수밖에 없다고 생각하여, 때마침 청·프전쟁에서 패한 청나라의 어수선한 틈을 이용하여 일본과 모의하여 정변을 일으켜 혁신정부를 세우려 하였다.


    우정총국이 1884년 11월 18일에 업무 개시가 시작되고 축하연을 계기로 급진 개혁파는 정변을 일으켜 반대 세력을 몰아내고 고종을 경우궁으로 모신뒤 새 내각을 조직하였다. 문벌타파, 평등, 재정의 일원화, 지조법 등의 개정, 경찰제 실시, 행정기구 개편 등 14개조로 된 개혁안을 선포하였으나 청나라의 간섭으로 사흘만에 실패하고 그 중심 인물들은 일본으로 망명하게 된다.


    갑신정변은 오히려 조선내에 청나라의 세력만 강화 시키는 결과가 되었다. 그리고 조선은 일본간에 정변의 영향으로 한성조약이 체결되었으며, 청나라와 일본간에 텐진조약이 체결되어 다시 조선은 청나라와 일본의 세력 틈바구니에 놓이게 되었다.


    목적은 근대적이었으나 민중의 지지를 받지 않은 위로부터의 개혁이었다는 점과 외세에 기대어 자기들의 정치적 목적을 이루는 점이 전근대적으로 평가된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 처음으로 일어난 자발적인 근대화 운동이었다는 점에 뜻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