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따뜻한원앙279
따뜻한원앙279

물안에서 공기를 뱉으면 공기가 물밖으로 빠져나가는 이유

물안에서 공기를 뱉으면 뱉어진 공기들은 모두 물밖으로 빠져나가게 되는데

공기가 물속남아있지않고 물밖으로 나가게 되는 이유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울통불퉁침팬치
      울통불퉁침팬치

      안녕하세요. 박성학 과학전문가입니다.

      물속에서의 공기는 물과 섞이지 않기 때문에 사람이 내뱉은 공기는 물밖으로 빠져나오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윤보섭 과학전문가입니다.

      물속에서 뱉은 공기가 물 밖으로 나가는 이유는 부력과 공기의 밀도 차이 때문입니다.

      물은 공기보다 밀도가 크기 때문에 물 속의 공기 방울에는 부력이 작용합니다. 이 부력이 공기 방울을 위로 밀어올려 결국 물 표면으로 나오게 합니다. 물속에서는 공기 방울의 밀도가 주변 물의 밀도보다 작기 때문에 부력을 받아 올라가게 되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물속에서 뱉은 공기가 물밖으로 빠져나가는 이유는 밀도 차이 때문입니다. 공기는 물보다 밀도가 훨씬 낮아서 물 위로 떠오르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