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화학

호화로운동고비112
호화로운동고비112

우리나라의 봄날씨에 건조하고 바람이 많이부는 이유는?

최근들어서보면 우리나라는 봄만되면 건조하고 비가 안내려서 가물고 바람도 많이 불어서 황사도 심합니다. 왜 그러한 날씨가 생기는 것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8개의 답변이 있어요!
    • 매끈한참고래15
      매끈한참고래15

      안녕하세요. 이만우 과학전문가입니다.

      항상 그런것은 아니지만 아열대 기후는 겨울 기간동안 해상의 찬 기운이 따뜻하게 데워지면서 해수면에 수증기가 많이 발생하고

      이렇게 증가된 수증긱가 대기로 증발되면 불안정한 대기압 차이가 발생하여 다른 계절에 비해 기온차 변화가 심해집니다.

      또한 봄~초여름 우리나라는 편서풍의 영향으로 중국이나 몽골쪽에서 불어오는 바람으로 인해 중국의 제조산업 활동과 마른 사막 기후의

      몽골 영향도 미세먼지+황사의 영향을 유독 많이 받는다고 합니다.

    • 우리나라의 봄날씨가 건조하고 바람이 많이 부는 이유는 대기 상태와 기상 패턴 때문입니다.

      봄철에는 북위에서 남하하는 고기압의 영향을 받아 대기가 안정되고 습기가 적어지게 됩니다. 이에 따라 대기 중 수증기가 적어지고 기온이 높아지면서 공기가 매우 건조해지는 현상이 나타나게 됩니다. 또한, 북서쪽에서 동남쪽 방향으로 불어오는 찬 공기와 남쪽에서 북쪽 방향으로 불어오는 따뜻한 공기가 충돌하면서 바람이 강해지는 현상도 나타납니다.

      이러한 대기 상태와 기상 패턴으로 인해 우리나라 봄철은 건조하고 바람이 많이 부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또한, 이러한 현상은 황사와 미세먼지 등의 대기 오염물질이 발생할 가능성을 높이기도 합니다.

    • 안녕하세요. 형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봄철에는 북태평양고기압이 강해져서 그 영향으로 찬 기류가 남하하면서 건조하고 바람이 많은 날씨가 형성됩니다. 특히 4~5월은 이와 같은 기상 패턴이 더욱 강화되기 때문에 건조하고 바람이 많은 특징이 나타납니다.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우리나라의 봄이 건조하고 바람이 강한 이유는 봄철이 되면 시베리아 고기압이 북반구 상공에서 약화되기 때문입니다. 이때문에 중국 남부의 온난건조한 대륙성 고기압이 우리나라쪽으로 이동하면서 봄철 황사와 건조한 날씨가 이어지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정우재 과학전문가입니다.

      좋은 질문 감사합니다.


      봄철에 건조한 날씨가 지속되는것은 첫째로 계절적 특성요인에 기인합니다. 밤과 낮 일교차가 크기 때문에 대기중의 수분이 줄어들어 건조해지는 요인이 첫번째 있고요.


      두번째, 계절풍이 중국에서 우리나라로 불게되는데 이때 사막지대를 지나기도하고 대기오염으로 인한 중국발 황사가 불어옴으로서 더더욱 건조해지는 날씨가 될수 있다고 말씀드릴 수 있겠습니다.


      궁금증해소에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북반구에서 고기압과 저기압이 만나는 지배적인 기상 상황이 원인 중 하나입니다. 봄철에는 북반구 상공에 고기압이 강해지면서 북쪽으로 바람이 불게 되며, 반대로 남쪽에서는 저기압이 생기게 됩니다. 이렇게 만나는 고기압과 저기압의 경계에서 바람이 강하게 불면서 건조한 기후 조건이 만들어지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의 봄은 겨울의 건조한 기단이 아직 남아있고, 태평양의 바람과 힘겨루기를 하는과정에서 바람이 많이 불게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

      최근들어 지구온난화의 영향으로 우리나라가 점점 건조해지는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보입니다.

      그래서 유독 최근 들어 심한 것 같다는 걸 느끼시는 것 같습니다.

      우리나라는 지난 40년간 상대습도를 10년 단위로 나눠서 봤을 때 1980년대 습도 71.3%에서 2010년대 습도 67.4%로 현저히 낮아진 것을 확인 하였습니다.

      상대습도는 대기 중에 존재하는 수증기량을 포화수증기량에 대해 비율로 나타낸 것인데, 공기 속에 수증기가 전혀 존재하지 않는 완전히 건조한 상태면 0%, 포화수증기압만큼의 수증기가 들어있다면 100%의 상대습도를 갖게 됩니다.

      즉, 우리나라는 과거에 비해 계속 건조해 지고 있는 것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