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토목공학

심심한곰255
심심한곰255

밤이 되면 소리 전달이 잘되는 이유가 있나요?

24층에 거중인데요.

문열어 놓고 생활할때 야간에 놀이터에서 말하는소리가 바로 옆에서 얘기하는것처럼 또렷하게 들린데요.

어떤 이유 때문에 그런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이영준 과학전문가입니다.

      소리는 밀도가 높은쪽으로 꺾이는 성질이있습니다

      낮에는 지표면의 공기가 뜨거워 소리가 하늘로 향하는경향이있지만

      밤에는 지표면의 식어 공기가 차갑게되고 낮보다 소리가 더 잘 전달되는 것 입니다

    • 안녕하세요. 강상우 과학전문가입니다.

      밤에 소리가 잘들리는 원인은 소리는 우선 파동운동을 합니다. 즉 기체보다 액체가, 액체보다는 고체가 소리를 전달하기 좋습니다.

      옛날 영화를 보면 기차가 오는 소리를 공기를 통해 전달듣는것보다 기차레일에 귀를 대고 들음으로 알게되지요

      또한, 소리는 진행하면서 다양한 물질을 만나면 방향이 달라집니다. 예를 들어 자동차가 아스팔트 길을 가다가 모래사장으로 비스듬히 들어간다고 생각해봐요.

      그럼 먼저 모래사장에 빠져서 상대적으로 느린 바퀴쪽으로 자동차의 진행 방향이 꺽이게되겠죠? 이처럼 소리의 파동이 진행하다가 굴절을 일으키게됩니다.

      우리가 듣는 소리는 대부분 공기를 통해 고막으로 들어오는데 굴정이 왜일어날까요?

      공기온도에 따라 상태가 달라지기 때문입니다. 공기가 뜨거울수록 분자운동이 활발해서 진동을 더빠르게 전달합니다.

      즉, 차가운 공기와 뜨거운 공기가 있을때 소리는 속도가 느린 차가운 공기쪽으로 진행 방향이 휘게 됩니다.

      밤에는 상층부 공기보다 지표면 공기가 차갑습니다. 그러다 보니 낮에는 소리가 위로 휘어져서 흩어지고 멀리 전달되지않지만,

      밤에는 소리가 아래로 휘어서 사람들이 생활하는 지표면으로 다시 돌아와 버린답니다.

      그러다보니 똑같은 목소리로 얘기해도 밤에 나눈 목소리가 더 멀리 잘 들릴수밖에 없지요.

    • 밤에 소리가 더 잘 들리는 이유는 온도가 더 낮기 때문입니다.

      지표면 근처의 공기 밀도가 공기중보다 더 크기 때문에

      퍼져나가는 소리가 지표면 쪽으로 굴절되어 더 크게 들립니다.

      낮에는 공기 밀도가 반대가 되어서 지표면에서 높은 상공으로 굴절되어

      지표면 근처에 있는 사람은 소리가 잘 전달되지 않고, 높은 곳에서 소리가 잘 들리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원영 과학전문가입니다.

      주변이 조용해서 잘들리는 것 같습니다. 상대적으로 잡소리가 안들리기 때문에 소리가 잘 전달되는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밤과 낮의 기온차이 때문입니다.
      이 기온차이는 소리가 퍼져나가는 매질인 공기의 대류현상을 바꿔 놓습니다.

      낮에는 태양때문에 달궈진 지면의 뜨거운 공기가 대기중으로 올라가면서 대류가 활발히 발생하죠
      즉 소리는 멀리 펴져나가지 않고 대류하는 매질을 따라서 멀리 퍼져 나가지 않습니다.

      하지만, 밤에는 이러한 소리의 매질인 공기의 대류현상이 발생하지 않죠.
      그렇기 때문에 소리는 멀리까지 퍼져나가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