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보름달빵단팥빵
보름달빵단팥빵23.02.12

부산 해운대 청사포 지명 유래가 궁금하네요?

부산에 여행가면 해운대구에 예쁜이름인 청사포가 있더군요 예쁜이름에 맞게 옛날부터 내려오는 지명에 얽힌 이야기가 있다는데 뭐가 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2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2.12

    안녕하세요. 이승원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청사포의 유래는 다음과 같습니다.

    먼 옛날 한 금슬이 좋은 부부가 있었는데, 어느 날 남편이 물고기를 잡기 위해 배를 타고 떠나는데, 풍랑을 만나 배가 침몰하고 맙니다.
    그러나 이 사실을 알 턱이 없던 아내는 바닷가 바위 옆에서 소나무를 심고 남편을 기다렸습니다. 끼니도 잊고 남편을 기다리는 아내가 안타까웠던 용왕은, 자신을 대신해서 푸른 뱀 한 마리를 보냅니다.
    아내는 이 뱀을 타고 용궁에서 남편을 만났으나, 이미 남편은 돌아올 수 없는 몸이 되어 있었습니다. 그리고 이 기구한 사연에서, 마을 사람들은 아내가 있던 바위를 망부석, 아내가 심은 소나무를 망부송, 마을의 지명을 청사포로 한 게 이름의 시초입니다.
    그러나 이후 청사포의 '청사'가 푸른 뱀에서 맑은 모래(靑蛇>淸沙)로 이름이 바뀌게 되는데, 이후 다시 앞의 '청'이 푸를 청으로 돌아오게 되면서 푸른 모래(靑沙)라는 어정쩡한 이름을 갖게 된다.

    출처: 나무위키 청사포


  •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청사포(靑蛇浦)[푸른 구렁이의 포구]는 골매기 할매의 전설과 관련된 지명이다. 새 신부였던 김씨 부인은 고기잡이를

    나간 남편이 난파하여 돌아오지 않자

    매일 해안가의 바위에서 두 그루의

    소나무를 심고 남편을 기다렸다고 한다. 수십 년을 하루같이 기다리는 김씨 부인을 애처롭게 여긴 용왕이 청사(靑蛇)[푸른 구렁이]를 보내 용궁에서 남편과 상봉시켰다는 전설이 전해진다. 1920년경 뱀 ‘사(蛇)’ 자를 모래 ‘사(砂)’ 자로

    바꾸어 청사포(靑砂浦)로 개칭했다.

    김씨가 멀리 수평선을 향하여 눈물을

    지으면서 기다리던 큰 소나무와 그 아래 바위에는 망부송(望夫松)과 망부암(望夫岩)이라는 이름이 붙여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