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리인하와 인플레이션, 인플레인션과 디플레이션은 어떻게 발생하며 차이는 무엇일까요?
미국의 파월 연준위 의장이 트럼프 대통령의 의지와 달리 금리인하단행을 극구 반대하는데, 근본적 이유가 인플레이션 걱정 대문이라고 들은 것 같습니다. 그럼 인플레이션과 디플레이션은 어떻게 발생하며 차이는 무엇일까요?
안녕하세요. 이종우 경제전문가입니다.
인플레이션은 수요 증가 또는 원자재 상승 등으로 물가가 전반적으로 오르는 현상을 말하며 금리 인하는 자금이 풀려 인플레이션을 자극 할 수 있습니다. 이와 반대로 디플레이션은 소비 감소나 경기 침체로 물가가 하락하는 현상을 말하며 기업 투자와 고용이 줄어들 위험이 있죠.
파월 의장이 금리 인하를 매우 신중하게 보는 이유가 바로 인플레이션 재 확산을 우려 하기 때문 이기도 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금리인하는 시중에 유통되는 화폐량이 많아지기 때문에 인플레이션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인플레이션은 물가가 오르는 것을 말하며 디플레이션은 물가가 내리는 것을 말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장수한 경제전문가입니다.
수요와 공급의 법칙은 통화에도 적용이 됩니다. 시중에 돈이 많이 풀려 공급이 늘어나게 되면 물가는 기본적으로 상승하게 됩니다. 이를 인플레이션이라고 합니다. 정상적인 경제체제에서 인플레이션은 당연한 결과이며, 정상적인 상황입니다. 하지만 인플레이션이 극도로 과도해지면 이를 하이퍼 인플레이션이라고 하며, 화폐의 가치가 매우 낮아지게 됩니다. 짐바브웨나 베네수엘라를 예시로 들 수가 있겠습니다.
반면, 물가가 지속적으로 하락하는 현상을 디플레이션이라고 합니다. 디플레이션 상태에서는 물가가 하락하여 일견 좋아보이긴 하지만 고용이 줄어들고, 투자가 줄어들며 경제 발전이 퇴보할 수도 있기 때문에 인플레이션보다 오히려 위험한 상태라고 여겨집니다.
따라서, 파월 의장이 금리를 인하하게 되면 기업과 개인들이 돈을 싸게 더 빌릴 수 있게 되고, 시중에는 돈이 많아져서 물가 상승, 즉 인플레이션이 생길 수 있는 것입니다. 금리를 인하하고 인상하는 정책은 전통적인 인플레이션 헷지 방법으로 지금까지도 활용되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김명주 경제전문가입니다.
인플레이션은 물가가 지속적으로 올라 화폐가치가 하락하는 현상을 의미합니다. 이는 수요 증가나 비용 상승으로 발생합니다.
디플레이션은 수요 감소나 과잉공급으로 발생하며, 물가가 하락하여 화폐 가치가 상승하는 현상을 의미합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금리 인하와 인플레이션, 인플레이션과 디플레이션에 대한 내용입니다.
인플레이션은 시중에 현금이 많이 유입되면서 현금의 가치가 떨어지면서 발생하는 것입니다.
디플레이션은 수요 부족, 공급의 과잉, 통화량의 감소가 주요 원인이 되어서 발생하게 됩니다.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전문가입니다.
인플레이션은 총 수요가 총 공급을 초과할 때 발생합니다. 주로 통화량 증가로 소비와 투자가 확대, 인플레이션 기대심리로 인한 가수요 증가, 또는 유가 상승 등 공급 충격에 의한 생산비 상승이 주요 원인입니다. 예를 들어, 시중에 돈이 많아지면 소비 증가로 물가 상승이 촉진됩니다.
디플레이션은 총 수요 감소나 총 공급 증가로 발생하빈다. 소비자 지출 위축, 기술 발전에 의한 생산비 절감 및 공급 과잉, 통화 강세로 수입품 가격 하락 등이 주요 요인입니다. 경기 침체 시 소비 감소가 지속되면 물가 하락이 고착화 됩니다.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인플레이션은 물가가 상승하여 돈의 가치가 떨어지는 것, 디플레이션은 물가가 하락하여 돈의 가치는 상승하지만 사람들이 물가의 하락을 예쌍하여 구매 등을 하지 않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디플레이션은 재고가 남고 구매를 하지 않아 내수경제가 더 둔화되는 특징이 있습니다. 둘중에서는 디플레이션이 보다 좋지 않은 결과라고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가 해결되기 위해서 다양한 정책적인 입안이 중요한 요소가 될 것이라 생각합니다.
안녕하세요. 박현민 경제전문가입니다.
인플레이션은 돈이 시중에 너무 많이 풀려서 물가가 오르고 돈 가치가 떨어지는 현상이고, 디플레이션은 반대로 소비가 줄거나 공급이 넘쳐서 물가가 계속 하락하면서 경제가 위축되는 상황을 말합니다. 금리를 내리면 대출이 쉬워지고 돈이 더 풀리니까 소비는 늘지만, 그게 과하면 인플레이션으로 번지게 됩니다. 그래서 파월 의장은 트럼프가 원하는 대로 쉽게 금리인하에 나서지 않았던 거고요. 물가 안정이 무너지면 중앙은행은 통제력을 잃을 수 있어서 그걸 가장 경계하는 겁니다.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인플레이션은 물가가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현상을 말하며
디플레이션은 물가가 지속적으로
하락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인플레이션의 원인은 수요 증가, 통화량 증가, 원자재 및 노동 비용 상승 등 여러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합니다.
그리고 디플레이션의 원인은 재화와 서비스의 가격이 전반적으로 하락하는 현상 으로, 다양한 경제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