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자를 하는건 주주에게 안 좋은 건가요?
기업이 빚이 있을 때 감자를 통해 결손금을 메꾼다고 배웠는데요. 감자하는 기업의 주주들은 감자를 통해 무조건 손해를 보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감자는 주주들에게 단기적으로는 불리할 수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회사의 재무구조 개선을 통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복잡한 과정입니다.
감자를 실시하면 주주들의 보유 주식 수가 줄어들어 일시적으로 자산 가치가 하락하는 것처럼 보일 수 있습니다. 그러나 감자의 목적은 기업의 재무상태를 개선하고 향후 성장 가능성을 높이는 데 있습니다. 결손금을 메우고 부채비율을 낮춤으로써 기업의 신용도가 개선되고, 이는 장기적으로 기업 가치 상승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감자가 반드시 주주에게 손해라고 단정 짓기는 어렵습니다. 감자 이후 기업이 성공적으로 회생하여 실적이 개선된다면, 주가가 상승하여 주주들의 손실을 만회하거나 오히려 이익을 볼 수도 있습니다. 중요한 것은 감자 이후 기업의 경영 개선 노력과 성과입니다.
주주들은 감자 결정 시 기업의 회생 가능성, 향후 사업 계획, 업계 전망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판단해야 합니다. 감자는 기업 회생을 위한 하나의 수단일 뿐이며, 그 자체로 주주 가치의 최종적인 하락을 의미하지는 않습니다.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감자를 한다는 것 자체가 유상감자도 있으나
보통 무상감자를 하게 됩니다.
무상감자를 하면 주주들은 아무런 보상도 받지 못하기에
보통 손해를 보니 참고하세요.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감자가 주주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한 내용입니다.
감자에는 유상, 무상 감자가 있고
유상감자의 경우 감자하는 만큼 기입이 주주에게 현금 보상을 하게 됩니다.
하지만 무상감자의 경우 감자에도 불구하고 기업이 보상을 해주지 않게 되기에
주주에겐 매우 불리한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감자의 종류는 유상감자와 무상감자로 나뉘는데요. 무상감자의 경우, 기존 주주들에게 보상을 해주지 않고 진행되기 때문에 대체로 주가 하락이라는 악재로 작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유상감자는 회사가 일부 자본을 주주에게 환급해주는 방식으로 이루어지지만,
주주가치를 제고한다는 긍정적인 평가와 함께 기업 자금을 유출시킨다는 부정적인 시각이 공존해서 주가 하락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자본금을 줄이는 감자의 경우 대부분 기존 주주들에 불리합니다. 무상감자의 경우 크게 문제될 것이 없으나 감자를 하는 기업들은 대부분 결손금 보전, 투자 유치 용의성을 위해 자본금 규모를 줄이는데 기존 자본금 형성에 기여한 주주들의 희생이 따르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