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븐이 하드포크를 하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레이븐이 10/1일에 하드포크를 한다는데, 하드포크 하는 이유가 무엇이며, 하드포크가 호재인가요 악재인가요?
또한 현재 암호화폐거래소에서 하드포크 지원 해준다는 거래소가 있는지요?
(일단 레이븐 코인의 하드포크에 대한 정보가 많지 않고 사실 관계와 선후 관계를 파악하기 힘든 측면이 있습니다. 따라서 아래의 답변 내용에도 일부 오류가 있을 수도 있다는 점을 말씀드리면서 답변을 시작하도록 하겠습니다.)
레이븐 코인은 X16R이라는 암호화(해싱)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채굴이 진행됩니다. 이 알고리즘은 ASIC 내성이 있는 암호화 방식으로 채굴이 됩니다.
이 X16R이라는 해싱 알고리즘은 16개의 해싱 알고리즘의 순서를 고정된 순서가 아닌 이전 블록의 해시값의 마지막 8바이트 값을 기준으로 계속해서 변경함으로써 ASIC 내성을 갖게 됩니다.
따라서 전문 채굴업자들에게 채굴이 집중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하고 개인이나 소규모 단위의 채굴의 경쟁력을 향상 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었습니다.
그런데 최근 이러한 X16R에 대응하는 ASIC 채굴이 가능해짐에 따라 채굴에 있어서의 불공정 혹은 불평등, 집중화 문제가 제기되기 시작했습니다.
따라서 하드포크를 통해 X16RV2라는 암호화 알고리즘을 새로 적용함으로써 ASIC 채굴에 대한 내성을 다시 키우게 되며 레이븐 코인 커뮤니티의 일부 사람들이 주도하는 레이븐 코인 클래식이라는 블록체인이 새롭게 분기될 가능성도 있어 보입니다.
하지만 이러한 체인 분기는 개발팀과 레이븐 코인 채굴자, 커뮤니티 구성원의 폭넓은 합의로 이루어지는 것인지 의문이 들기도 합니다. 그렇지만 하드포크의 경우 채굴의 공정성, 평등성을 높이고 분산화를 다시 되찾자는 것이고 체인이 분기된다면 이후 레이븐 코인 클래식의 새로운 코인을 지급받을 수 있기 때문에 호재로 인식되고 있습니다.
끝으로 우리나라의 가즈아 거래소의 경우 레이븐 코인 클래식을 스냅샷 기준 98%까지 레이븐 클래식을 지원하겠다고 밝힌 바 있습니다만, 이것이 새로운 코인을 지급하겠다는 의미인지 확실하지는 않은 상황입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레이븐이 ASIC의 투입으로 채산성이 나오질 않는다는군요, 아마도 이번 하드포크는 이에대한
방어적인 입장이아닌가 합니다. X16RV2알고리즘으로 하드포크 하는데요 마이닝 프로그램도
새로 출시되고 알고리즘도 변화하고 그런것 같습니다. 가즈아 거래소가 하드포크를 지원합니다.
하드포크를 하면 레이븐과 레이븐클래식 이렇게 두개의 코인으로 바뀌게 됩니다.
하드포크를 지원하는 거래소나 지갑으로 이전하지 않은 레이븐에 대해서는 클래식을 배분하지않으며
그냥 사라지게 됩니다. 또한 레이븐클레식은 상장된 거래소가 없는한 매매를 할수없구요,
그냥 지갑에만 존재하는 코인입니다. 통상 대부분 시간이 지나면 상장후 거래가 되었습니다.
이처럼 하드포크는 어떤 이유에서 발생합니다. 이번레이븐의 하드포크는 알고리즘 변경 및 아식장비에
대응하기 위한 변경인듯 합니다. 리플의 하드포크를 예를들면 장단점을 이해하실 수 있습니다.
스텔라루멘은 리플을 하드포크해서 만든 코인입니다.발행량은 1000억개 엄청난 수치입니다.
리플이 국제 은행간의 거래를 목적으로 만들었다면스텔라는 좀더 개인거래를 목적으로 만들었습니다.
리플에 비해 송금수수료가 적고 적은 단위로도 송금이 가능합니다.모바일과 연동되어 결재문자도 모바일
전송이 가능합니다.비지니스 연계형으로 쉽게 만들었다고 나 잘 모르겠네요,금융서비스의 비용을 낮추고
개인가능성을 해결하여금융개선을 목적으로 하드포크하였습니다.하지만 시장에선 xrp(리플)도 시세가
약하고 스텔라루멘(xlm)은 더 낮게 거래되 있습니다,일부 거래소에선 스텔라를 상폐시키기도 했습니다.
리플은국제적으로 기관사용용이라면스텔라는 좀더 섬세적으로 개인용으로하지만 시장에선 찬밥신세네요
레이븐코인은 비트코인 프로토콜의 UTXO 모델 기반의 광범위한 테스팅과 개발을 통해 코드를 포크하여
탄생하였으며, 블록 생성 시간(1분), 코인 발행량 (210억개), 그리고 추가적으로 자산 생성 및 메시지 기능
추가가 있습니다. ‘X16R’ 합의 알고리즘을 증명하는 작업증명(PoW) 방식을 통하여, ASIC 저항 알고리즘으로
대형채굴을 방지하며, 공개적이며 투명하게 채굴이 가능합니다. 레이븐코인은 X16R 알고리즘을 사용합니다.
블럭생성시간은 59초정도이구요. 현재 87만블럭정도가 생성되었습니다. 1080TI 1개로 채굴시
29MH/S 정도의 속도가 나옵니다. 190W정도 전력이 소모되구요, 하루에 10개정도 코인을 채굴할수 있습니다,.
하지만 하루에 -137원정도 마이너스 채산성이 나옵니다. 하지만 대형 아식장비 채굴로 인해 개인채산성이
하락하여 이번에 알고리즘을 변경하는 것으로 보여집니다. 레이븐은 배당금지불. 수익공유.로열티 공유가
가능한 토큰입니다. 이번 하드포크가 성공하여 개인채굴자에게 좋은 일이 되길 바랄뿐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