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규욤미소
규욤미소

우박은 비와 다르게 하늘에서 어떤 원리로 생기나요?

어제 비가 내렸는데 제가 있던 곳과 40-50분거리가 되는 산이 많은 지역에서는 우박이 내리고 있다고 하는데 우박은 어떤 원리로 내리는 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 느긋한칼새269
      느긋한칼새269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 우박은 상승기류에 의해 수증기가 높은고도로 상승하면서 단열팽창되어 얼음이 되는것에서 시작합니다. 이 얼음결정들이 서로 충돌하여 합해짐으로써 우박이 되어 내리는겁니다.

    • 안녕하세요. 형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우박은 대기 중에 존재하는 수증기가 먼지나 황사 등의 입자에 의해 결빙 핵이 형성되고, 이 주변의 수증기가 영하 온도로 냉각되면서 결빙 핵에 얼음 입자가 계속해서 형성되어 우박이 형성됩니다. 우박의 크기와 형태는 대기의 상태와 바람의 세기와 방향에 따라서 다양하게 변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구름에서 충분한 무게를 가진 빙정이 낙하합니다.

      낙하하던 빙정은 대기를 지나며 녹아 물방울이 되지만 상승기류를 타고 다시 올라가며 얼게 되고 주변 습기를 흡수하여 커지게 됩니다.

      디시 무거워져 낙하를 하고 다시 상승기류를 타고 구름에 들어가기를 반복합니다.

      이후 상승기류를 이길 정도로 무거워진 얼음덩어리가 낙하하게 되는데 그것이 우박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태헌 과학전문가입니다.


      우박 성장은 강한 상승기류 의해서 이루어지고, 공기덩이 상승 시 공기덩이의 온도가 전에 생긴 빗방울이 모두 얼어버릴 때까지 빙결점에 머문다고 보는 개념의 한 부분이다. 강한 뇌우에서 나타는 특징인 상하층간의 큰 온도차와 강한 상승기류는 강우를 차가운 상층으로 밀어 올리고, 지속적으로 우박이 성장하는 조건을 만든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공기중의 수분이 서로 모여 구름을 만드는데 이때 주위의 온도가 낮으면아주 작은얼음 알갱이가 됩니다 이 얼음 알갱이가 일정 무게이상 모여 무거워지면 땅으로 떨어지는데 지상의 날씨가 추우면 눈이되고 따뜻하면 비가됩니다 땅으로 떨어지던 눈과 비가 강한 상승기류를 만나 위로 올라가고 중력에의해 다시 떨어지다 상승기류를 만나 다시올라가는 현상을 반복하다 일정크기 이상의 얼음덩어리가 되어 떨어지는데 이것이 바로 우박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렬 과학전문가입니다.

      우박은 거의 적란운에서 잘 생깁니다. 적란운에서 작은 알갱이 들이 땅으로 떨어지다가 강한 상승기류 바람으로 인해 다시 위로 올라갔다 내려갔다 합니다. 그럼 어느 정도 뭉치겠죠? 적어도 쌀알 크기 정도 이상이 되면 떨어지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강상우 과학전문가입니다.

      일반적으로 우박은 특정 대기 조건으로 하늘에서 형성됩니다.

      그것은 최대 10km 높이에 도달할 수 있는 크고 높은 구름인 적란운의 형성으로 시작됩니다.

      이 때 구름은 따뜻하고 습한 공기가 빠르게 상승하고 냉각되어 물방울이 응결되어 구름에서 형성됩니다.

      우박은 크기가 커짐에 따라 상승기류가 지탱할 수 없을 정도로 무거워지고 땅에 떨어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