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호화폐 결제시 트랜잭션 속도가 문제가 되지 않을까요?
현재 국내 상점에서 결제시 현금과 카드가 매우 편하게 이용되는데요.
향후 암호화폐가 대중화된다 하더라도 트랜잭션속도가 문제가 되진 않을지 우려스럽습니다.
전문가님들은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궁금합니다.
- 안녕하세요. 암호화폐 결재 속도에 대하여 답변드리겠습니다. - 시스템별 처리속도(단위 :TPS) - VISA : 24,000 
- 이오스 : 3,996(최대) 
- 트론 : 748(최대) 
- 이더리움 : 4.2 
 
 - <속도와 관련된 주요 기술> - 비트코인 : 라이트닝 네트워크(사이드 체인) - 비트코인은 라이트닝 네트워크 시스템을 이용하여 내부적으로(오프체인) 당사자들끼리 선 합의(거래) 이후 일정양의 거래내역이 작성되면 외부 네트워크(온체인)에 연결하여 최종 이상유무를 거처 블록을 생성하게 됩니다. 
- 따라서 소액 거래에 대한 내역을 모아서 한번에 검증할 수 있기 때문에 기존 거래별로 일일이 트랜젝션을 발생하여 방식보다 빠르게 처리할 수 있게 됩니다. 
- 현재 비트코인은 라이트닝 네트워크를 도입할 예정입니다. 
 
 - 이더리움 : 샤딩+PoS검증방식 도입, eWASM - 이더리움은 샤딩(Sharding)이란 기술을 통해 블록 검증 지역을 분권화(그룹화)하여 중앙화의 문제를 해결함과 동시에 빠른 트랜젝션이 가능하도록 시스템을 구현할 계획입니다. 
- 또한 이더리움은 VM이라는 가상머신위에 작동하여 속도 느린 단점이 있습니다. 쉽게 말해 이더리움의 개발언어는 솔리디티라는 코드가 컴파일되어 바이트코드 거처 EVM(이더리움 가상머신)을 실행합니다. 
- 따라서 이더리움은 앞으로 느린 구조의 어셈블리어를 대신해 웹어셈블리어를 통해 빠른 트랜젝션 속도를 구현할 계획입니다. 
 
 - 이오스 : VM , 멀티스레드 도입 - 이오스는 웹 어셀블리어를 사용하기 위해 VM(가상머신)을 도입할 계획입니다. 이를 통해 이오스 메인넷 당시(2018년 6월) 보다 12배, 지금보다 6배 빠른 속도 구현이 가능하게 됩니다. 
- 특정한 경우에는 100배가 빠르다라는 말도 있습니다. 
- 또한 현재의 싱글스레드 방식이지만 차후에는 멀티스레드 방식을 적용하여 비약적으로 속도를 향상할 계획입니다. 
 
 - <결론> - 이처럼 현재의 블록체인 시스템으로는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카드의 처리속도 보다 느리기 때문에 각 블록체인 개발사들은 TPS 속도를 높이기 위해 다양한 방법을 강구중에 있습니다. 
 - 대중화를 위해서는 기존보다 빠른 만단위 이상의 트랜잭션 구현은 필수적이라 생각됩니다. 
 -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