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대출 이미지
대출경제
대출 이미지
대출경제
집요한코브라212
집요한코브라21224.04.22

신용점수중 kcb nice둘 차이가 무엇인가요?

신용점수를 보면 kcb와 nice점수가 있는데 대출심사를 할때에는 어떠한 점수를 보는것이며 왜 둘의 점수가 차이가 나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박지호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대출심사 시에는 둘 중 낮은 것을 많이 평가합니다.

    KCB와 NICE의 점수 차이가 나는 이유는 신용평가사마다 점수산정하는 기준이 조금씩 다르기때문입니다.

    아래의 글은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신용점수 관리 이유 및 올리는 방법 정리 (lovingpine.com)


  •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kcb와 nice가 점수를 책정할때 기준을 반영하는 비율이 조금씩 다릅니다 nice는 금융거래활동 쪽을 많이 반영합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신용평가사가 다른 것이며 각 항목들 중에서

    반영비율 등에서 차이가 있다고 보시면 되니

    참고하세요.


  • 안녕하세요. 안동주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KCB는 빌린 돈들의 리스크를 주로보고 NICE는 돈을 잘 갚는지가 중요한 항목 입니다. 금융기관들은 둘다 보기때문에 둘다 관리하는게 좋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손현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1. 대출 심사 시 사용되는 신용점수:

    일반적으로 KCB와 NICE 신용점수 모두 대출 심사에 활용됩니다.

    금융기관은 신청인의 신용 상황을 종합적으로 평가하기 위해 두 점수를 모두 참고하거나, 자체 신용평가 시스템과 함께 활용하기도 합니다.

    2. KCB vs NICE 신용점수 차이 발생 원인:

    KCB와 NICE 신용점수 차이는 다음과 같은 이유로 발생합니다.

    • 평가 기관 및 기준 차이:

      • KCB: 한국신용평가원(KCB)에서 산정하며, 부채 비율, 신용 거래 기간 및 형태, 신용 이력 등을 평가합니다.

      • NICE: NICE평가정보(NICE)에서 산정하며, 상환 이력, 신용 획득 및 이용 현황, 부채 수준 등을 평가합니다.

    • 데이터 수집 범위 차이:

      • KCB: 은행, 카드사, 신용협동조합 등 국내 금융기관 거래 내역을 기반으로 데이터를 수집합니다.

      • NICE: 금융기관 거래 내역뿐만 아니라 공공기관의 신용 관련 정보(납부 이력, 연체 기록 등)도 포함하여 데이터를 수집합니다.

    • 평가 모델 및 가중치 차이:

      • 각 평가 기관은 고유의 평가 모델을 사용하며, 각 항목에 대한 가중치도 다를 수 있습니다.

    3. 실제 대출 심사 과정:

    금융기관은 신청인의 신용점수 외에도 소득, 자산, 직업, 근무기간 등 다양한 요소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대출 심사를 진행합니다.

    답변이 충족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동하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이 둘의 신욭덤수가 다른 이유는 각 신용평가사마다 비중 있게 보는 항목이 다르기 때문입니다.

    KCB의 경우, 성실한 신용 거래 내역을 쌓는 게 중요하며 금리나 리스크가 낮은 대출을 이용하고, 체크카드를 지속적으로 이용한다면 신용점수에 긍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NICE의 경우, 대출 등을 연체하지 않고 꾸준히 갚을 수 았는지를 중점적으로 봅니다.


  • 안녕하세요. 김병섭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KCB와 NICE는 국내 대표적인 신용조회회사로, 개인 및 기업의 신용정보를 수집, 관리, 분석하여 신용점수를 산출합니다. 두 회사의 주요 차이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1. 평가 모형 및 산출 방식

    - KCB: KCB 스코어, 크레딧뷰로 점수 등 자체 개발한 평가 모형 사용

    - NICE: NICE 신용평점, 내국인점수(NCS) 등 자체 개발 모형 활용

    2. 점수 범위

    - KCB: 최저 365점에서 최고 1000점까지 1점 단위로 산출

    - NICE: 최저 250점에서 최고 950점까지 10점 단위로 산출

    3. 평가 요소 비중

    - KCB: 신용거래정보(대출상환, 연체 등)를 중점적으로 반영

    - NICE: 신용거래정보 외에 직업, 소득 등 비금융정보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음

    4. 금융권 내 활용도

    - KCB: 은행권을 중심으로 널리 활용됨

    - NICE: 캐피탈, 저축은행, 보험사 등에서 상대적으로 많이 활용

    5. 조회 서비스

    - KCB: 나이스미 신용정보 조회 서비스 제공

    - NICE: 나이스지키미 개인신용정보 조회 서비스 운영

    하지만 두 신용점수 모두 개인의 종합적 신용도를 판단하는 중요 지표로 활용되며, 점수가 높을수록 금융거래 시 우대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각 금융사는 자체 기준에 따라 특정 점수를 선택하여 여신 심사에 반영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 실제 대출시 금융기관은 두 신용점수 모두를 참고합니다

    • 해당 신용점수를 참고하고 금융기관 내부적으로 css를 다시 돌려서 최종적으로 대출 한도와 금리가

      나타나게 되는 구조를 갖고 있습니다.

    • 각 기관별로도 css를 산출하는 기준이 상이하기 때문에 두 기관의 지표를 모두 참고하는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 KCB와 NICE신용평가는 한국의 대표적인 신용평가기관입니다. 두 기관은 신용평가를 위한 정보를 수집하고, 개인 또는 기업의 신용평가를 수행합니다. 그러나 두 기관의 평가 방식, 평가 항목, 사용되는 데이터 등에서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KCB는 신용거래형태를 주로 보며 부채 수준과 상환이력, 신용거래 기간위주로 평가하여 반영합니다. NICE는 이에 반해 나이스는 상환이력을 위주로 보며 어떤 형태의 거래를 얼마나 했는지를 위주로 평가 한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질문하신 KCB와 NICE의 차이에 대한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NICE가 중요시 보는 점은 상환 이력, 신용거래 형태, 부채 수준 , 신용거래 기간, 비금융 가점 순서이고

    KCB는 신용거래 형태, 부채 수준, 상환 이력, 신용거래 기간, 비금융 가점 순서입니다.

    그렇기에 점수에 차이가 나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신용점수 KCB와 NICE의 경우에는 비슷한 항목들로 평가를 하지만 가중치를 다르게 주어서 평가를 하고 있어요. 그리고 대출 심사시에는 은행은 보수적으로 두개의 점수중에서 낮은 것을 기준으로 평가를 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