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주식·가상화폐

행복하게살아요
행복하게살아요

S&P500 관련하여 궁금한 것이 있어 문의 드립니다.

워렌 버핏이 자기는 돈만 있으면 무조건 S&P500에 투자한다고 할 정도 S&P500은 우성장하였습니다.

그런데 S&P500을 보니까 미국에 직접 투자하는 방식과 우리나라에서 관련 상품이 있어 투자하는 방식이 있던데요.

미국에 투자하나 한국에서 투자하나 근본적으로 같은 것인지 문의 드리며.

투자시 유의할 사항이 있으면 조언 부탁 드립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S&P500과 관련해서 미국내에서 이를 추종하는 ETF가 있으며 우리나라에서 별도로 S&P500을 추종하는 ETF가 있는데 근본적으로 이는 동일하지만 차이가 있다면 '환율'에 의한 차이가 있지만 이 경우도 H 즉 환율 헷징을 하는 펀드는 동일한 성격을 보여요

  • 안녕하세요.

    우리나라 상품은 보니까 TR붙은게 많더라구요. 이거는 토탈리턴인데 배당금(분배금)받은걸 그대로 다시 재투자 한다는 뜻입니다. 미국의 대표적인 ETF인 SPY나 VOO는 그렇지는 않습니다.

    그리고 환율차이입니다. 2021년에 SPY투자한 사람은 당시 환율이 1100 ~ 1200원대였는데 지금 1300~1400원대까지 왔으니까 S&P500의 수익과 환율이익 두마리 토끼를 잡았을 것입니다. 하지만 반대의 경우도 있겠죠. 그래도 장기적으로는 기축통화인 달러의 가치가 원화보다 더 좋을거라 믿기 때문에 직접투자하는 사람도 많습니다.

    운용사마다 해당 ETF 실제 S&P500을 얼마나 잘 따라가는지도 있는데 이 오차범위는 대동소이하고 신경쓸 정도는 아닌거 같습니다.

    운용보수 수수료 차이도 있는데, 아무래도 이건 더 적은게 낫습니다. 오차범위는 보통 다들 별로 크지 않습니다

    감사합니다.

  • 우리나라에 상장한 S&P500 상품 등도 미국의 S&P500 상품과 유사합니다만 수수료 등 측면에서는 조금 더 비쌉니다. 그러나 연금저축계좌나 IRP, ISA 계좌 등에서 투자가 가능하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 질문하신 S&P 500 투자 방식에 대한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일단 한국에도 미국에도 S&P 500에 대한 ETF 들이 많이 상장되어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서로 비슷한 점도 있지만 분명 차이점도 있습니다.

    일단, 한국에서 투자하게 되면 양도소득세가 발생하지 않지만

    미국에 직접투자를 하시면 약 22%의 양도소득세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한국은 원화 투자이지만

    미국은 달러투자란 점도 감안하셔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