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찬을 거의 다 버리는 아이는 어떤식으로 지도하면 될까요?
담임 선생님과 상담을 하며 알게 된 사실입니다.아이가 점심급식을 먹을때 고기나 맛있는 반찬이 나오는 날에는 밥을 2번씩 받으러가는데 그게 아니라 생선이나 야채 반찬 위주로 나오는 날에는 거의 버린다고 합니다. 이걸듣고 어찌나 속상하던지요. 어떻게 지도해주고 신경써주는게 좋은걸까요?
안녕하세요. 박하늘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의 식습관이 고기와 맛있는 반찬에 치우쳐 있다는 것을 알게 되어 속상하셨을 것 같아요. 하지만 이 시기의 아이들에게는 특정 음식에 대한 편식이 흔하니, 너무 염려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다만, 아이가 다양한 음식을 경험하고 균형 잡힌 식습관을 갖게끔 유도하는 것이 중요하겠죠. 우선, 아이와 대화를 통해 급식에서 왜 고기 반찬만 좋아하는지, 다른 음식들은 왜 먹기 싫은지 이야기를 나눠보세요. 이때, 아이가 부담스럽지 않게 부드럽고 긍정적인 태도로 접근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리고 집에서도 다양한 식재료를 활용해 맛있는 식사를 만들어 주시고, 아이와 함께 요리를 해보는 것도 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아이가 생선이나 야채를 거부한다면, 좋아할 만한 소스를 곁들여 먹게 하거나, 아이가 직접 준비 과정에 참여하도록 해보세요. 또한, 다양한 음식을 먹었을 때의 장점을 긍정적으로 알려주며, 먹기 어려워하는 음식이라도 한 입씩 도전해 보는 것을 칭찬해주는 방법도 좋습니다. 급식이 끝난 뒤에도 선생님과 함께 간단한 대화를 통해 아이가 먹은 반찬에 대해 이야기 나누며 작은 성취감을 느끼게 하는 것도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김현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가 야채나 채소 반찬을 다 버리는데 편식이 있는거같습니다 집에서 아이가 실어하는 채소 야채를 잘게 썰어 아이가좋아하는 음식에 같이 먹이면서 편식 습관을 고쳐보도록 해주세요
안녕하세요. 김민희 유치원 교사입니다.
우리 아이들의 경우에는 편식을 하는 경우가 생각보다 많을겁니다. 이 경우에는 부모님께서 아이를 잘 교육 해주셔야 되겟습니다. 이론적인 교육은 당연히 하겠지만 이를 실천하는것도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아이들이 먹는 음식에 대해서 연구를 해주셔서 아이가 싫어 하는 음식도 맛있게 먹을 수 있도록 해주시는게 좋겠습니다. 부모님의 부지런함이 아이를 개선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안녕하세요. 박수진 유치원 교사입니다.
반찬의 소중함을 알려주세요. 그 반찬이 어떻게 하여 만들어졌는지 자세하게 설명해주고 그 반찬을 버렸을 때 자원의 낭비에 대해서도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집에서 야채나 생선등 다양한 음식을 먹으면서 경험할 수 있도록 해주세요
아이와 함께 음식을 만들고 음식 준비를 해보세요
아이는 본인이 만든 음식에 호기심을 가지게 되고, 경험해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