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 모니터 신호없음 상태에서 소비전력
어댑터를 사용하는 36W짜리 모니터입니다. 여기에서 신호없음 상태로 화면 안 들어오고 오른쪽 하단 불만 깜박거리면 전기가 얼마만큼 먹을까요? 대기전력만 먹나요? 그 이상인가요?
안녕하세요. 전찬일 전문가입니다.
모니터에 신호없음 상태에서 화면이 꺼지고 전원표시등만 깜빡거리는 경우는 대기모드에 들어간 상태라고 보시면 됩니다. 이럴때는 정격소비 전력보다 훨씬 적은 대기전력 수준만 사용이 됩니다. 보통 이상태에서는 1~3W 사이 정도 전기를 쓰는 경우가 많습니다. 정확한 수치는 모델마다 조금씩 다르지만 화면이 켜져있을때보다 훨씬 적은 전력을 소비합니다.안녕하세요. 김준연 전문가입니다.
모니터가 전원이 켜지지 않고 콘센트에 꽂혀 있다러면 소비전력이 모두 사용이 아닌 대기전력으로 전기가 사용될 우려가 있습니다. 쓰지 않는 전기는 콘센트에서 분리하는것이 전기 절약에 미약하지만 도움이 되기합니다.
제 답변이 도움이되셨으면 좋겠습니다
안녕하세요. 강세훈 전문가입니다.
36W짜리 모니터라면 대기전력만 먹습니다. 깜박이는 불은 전력 소모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소비전력은 대기전력 수준은 먹습니다. 전력이 쌓이면 적은 전기는 아니므로 사용안하실 때는 내리시는 게 좋습니다.
안녕하세요. 조일현 전문가입니다.
해당 상태는 절전 모드 이거나 대기 모드 상태로 보입니다.
일반적으로 대기 및 전전 모드 상태의 전력은 0.3-0.5w 이하로 나타나고 있습니다.
이는 정상 사용 대비 매우 낮은 전력을 사용하고 있어 전기요금 부담은 거의 없다고 봅니다.
하지만 많은 전자 기기가 대기 모드 상태라면 생각보다 전기요금이 나올 수 있어 사용을 안하는 경우라면 전원 코드를 제거 하는 것이 좋습니다.
안녕하세요. 박형진 전문가입니다.
화면이 안들어오면 대기전력이 소모되는 상태입니다.
신호없음은 절전 모드로 전화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1W~5W 정도 소모될것으로 추정합니다. 제조사, 모델에 따라 다릅니다.
보통 1W~5W라고 보시면 됩니다.
참고 부탁드려요~
안녕하세요. 하성헌 전문가입니다.
컴퓨터의 모니터 신호없음 상태에서도 전력의 소비는 발생합니다. 이는 절전모드로 진행이 되지만, 절전모드로 진행이 되면, 그 소비의 전력은 약 5w이하로 운영이 되며, 어댑터의 36w 정격은 활용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절전모드를 하라는 것은 그 소비전력이 확실하게 줄이고 사용할 수 있기 떄문입니다. 따라서 만약 자리비움을 하거나, 컴퓨터가 아닌 다른 일을 해야할 경우에는 절전모드로 운영하시는것이 가계나 사무실에서의 전력소비를 줄일 수 있는 방법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재훈 전문가입니다.
모니터가 신호없음 상태에서 화면이 꺼지고 하단 LED만 깜빡이는 경우 대부분은 화면 출력이 비활성화된 절전 모드로 집입한 상태입니다 이때는 본래 정격 소비 전력보다 훨씬 낮은 대기전력만 사용하며 내부 회로나 전원 LED 유지에만 전기가 소비됩니다. 따라서 정상 작동 대비 전력 소모는 극히 미미한 수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