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이 일반 평지보다 훨씬 더 습하게 느껴지는 이유는 뭘까요?
산이 일반 평지보다 훨씬 더 습하게 느껴지는 이유는 뭘까요? 높이 올라 갈 수록 더욱더 그런경우가 많은데요. 어떠한 원리 때문인지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
산에 올라가게되면 점점 기온이 낮아지게 되며 고도 1000m마다 6.5도의 하락을 야기시키게 하는데 온도가 낮아지면서 수증기가 수증기를 포화상태로 만들기 쉬워지며 공기가 더 적은 수증기를 담으게 되면서 상대습도가 높아지게 되는것이지용! 고도가 높아지면 대기 압력도 감소하게 되며 낮은 대기 압력에선 수분이 더 쉽게 응결되어 구름이 형성되거나 안개를 끼게 쉽게하며 이는 높은 고도에서 더 습하게 느낄수 있또록 하는 과정인것이지요! 산지에서는 공기가 상승하게 되는데 상승하는ㄱ ㅗㅇ기는 팽창하면서 차가워지게 되고 공기중의 수증기가 응결되어 구름을 형성하거나 안개를 만들기 쉽게 해주는것 입니다! 산에서는 지형성 강수가 자주 발생하는데 이는 산을 타고 올라가는 공기가 식어 비나 이슬로 응결을 시키게 되기에 산에서 습한 기운을 자주 느낄수 있께 되는 것입니다~ 산에는 평지보다 다양한 식생이 풍부하게 자라나고 잇으며 나무와 식물들이 많은 경우 수분을 유지하고 증발산을 이용하여 공기중에 수분을 방출시키게 하여 숲 이 울창한 산에서 이러한 증발산 현상으로 ㅅ브도를 높이기도 하는것이지요~ 또한 산에선 일교차가 커 기온을 크게 떨어트리며 안개나 이슬을 자주 형성하게 되고 아침에 습하게 느껴지는것도 이와 비슷한 원리입니다~산은 평지와 달리 복잡한 지형을 가지고 있어 바람이 더 많이 불기도 하고 공기의 흐름이 큰 영향을 받게되며 움직이게 되는 과정을 거치게 되는것이죠~ 산에선 바람이 공기를 더 쉽게 순환시키고 산 위에서 응축된 구름이나 수증기를 지면으로 떨어트려 습도를 더 높이게 하는 역할을 해주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