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미술

하얀도화지113
하얀도화지113

색깔에서 검은색은 빛을 흡수했기 때문이라고 하는데요 궁금한건 빛을 흡수해서 우리가 볼 수 없으면 아예 색깔을 인식 못해야 되는거 아닌가요?

안녕하세요

흔히들 색깔에서 검은색은 빛을 흡수했기 때문이라고 하는데요

궁금한건 빛을 흡수해서 우리가 볼 수 없으면 아예 색깔을 인식 못해야 되는거 아닌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윤지혜 전문가입니다.

    빛이 물체에 닿으면 물체 표면에서 반사되는 빛과 흡수되는 빛으로 나뉘게 됩니다.

    우리가 보는 물체의 색깔은 반사된 빛이 우리 눈에 들어오기 때문에 인식할 수 있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빨간색 물체는 빨간색 빛을 반사하고 나머지 다른 색의 빛은 흡수하므로 우리 눈에는 빨간색으로 보입니다. 반면에 검은색 물체는 모든 색의 빛을 흡수하고 반사하지 않기 때문에 우리 눈에는 검은색으로 보이게 됩니다.

    물체가 모든 색의 빛을 반사하면 흰색으로 보이고, 모든 색의 빛을 흡수하면 검은색으로 보인다는 것은 맞습니다. 하지만 실제로 완전한 흰색과 검은색 물체는 존재하지 않으며, 대부분의 물체는 일부 색의 빛을 반사하고 일부 색의 빛을 흡수하여 다양한 색상을 나타냅니다.

    인간의 눈과 뇌는 이러한 빛의 반사와 흡수를 통해 물체의 색상을 인식하게 되며, 이를 위해 간상세포와 원추세포라는 광수용체 세포가 작용합니다. 이러한 원리를 이용해 인간은 빛의 반사, 흡수, 굴절, 산란 등을 제어하는 기술을 개발하여 다양한 색상을 표현하고 활용합니다. 제 설명이 도움이 되었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