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고귀한거미8
고귀한거미8

비행기가 바다 수면위를 가까이서 날면 폭포처럼 물이 튀어오르는 이유?

영화같은데서 보면 비행기가 바다 수면위를 낮게 빠른 속도로 날아다니면

바닷물이 폭포처럼 위로 튀어오르던데 이런 현상은 무엇때문에 발생되는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이영준 과학전문가입니다.

    비행기가 빠른속도로 날게되면

    베르누이의 원리로 인해 비행기의 윗부분은 낮은압력을받고

    비행기의 하단부엔 위쪽으로 향하는 높은 압력이 생기게 됩니다

    따라서 폭포처럼 물이 위로 튀게되는것 입니다

  •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비행기 주변으로 공기가 지나가게 됩니다. 이는 터블런스를 만들게 되는데 이 공기 터블런스와 물이 만나기 때문입니다. 즉 물 위로 소용돌이 바람이 지나가게 되는거죠.

    질문에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과 좋아요 클릭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수면가까이 비행시 물이 올라가는 원리는 비행기 엔진의 큰 출력으로 인하여 물이 빨려가는 효과로 예상됩니다.

    항공기 가 지면이나 수면과 가깝게 날게 되면 아래쪽(물체와 지면 사이)의 공기압력이 증가해 양력 또한 증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