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육아

유아교육

다시봐도빛나는코스모스
다시봐도빛나는코스모스

신생아가 부모의 목소리나 얼굴을 인식하지 못하는 것 같은데 괜찮나요?

7개월 된 신생아입니다. 신생아가 부모의 목소리나 얼굴을 인식하는 시기가 언제인지가 궁금합니다. 인식을 못하는 것 같아 슬슬 걱정이 됩니다. 이것도 발달지연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최지웅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신생아는 생후 몇 주간 시각과 청각이 발달합니다. 부모의 목소리나 얼굴을 인식하는데 시간이 걸릴 수 있습니다. 보통 생후 1-2개월 지나면 인식 능력이 향상됩니다. 걱종된다면 소아과 의사와 상담해보세요.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김민희 유치원 교사입니다.

    7월월된 아이의 경우에는 부모님을 못알아 볼 수도 있다고 합니다. 아이가 이시기에는 아직 초점을 형성하고 있거나 막 형성이 되는 시기이기 때문에 이 때부터 많이 보는 사람들을 보면서 알아본다고 합니다. 따라서 이때에는 소리나 냄새로 사람을 인식하기 때문에 너무 걱정하지 않아도 되겠습니다. 이 시기가 지나가 좀 더 컸는데도 아이가 인식을 하지 못한다고 느끼신다면 병원 진료를 받아주시는게 좋겠습니다. 아이의 시력이나 다른 문제가 있는지 봐주시는게 좋겠습니다.

    1명 평가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박하늘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개인차가 있지만, 일반적으로 생후 3개월 정도부터 부모의 목소리와 얼굴을 구별하기 시작합니다. 7개월쯤 되면 부모의 목소리에 반응하고 얼굴을 보며 미소를 짓거나, 부모가 방에 들어올 때 주의를 기울이는 등의 행동을 보일 수 있습니다.

    만약 7개월 된 아기가 부모의 목소리나 얼굴에 반응하지 않는다면, 발달지연일 가능성을 고려해볼 수 있지만 반드시 그런 것은 아닙니다. 아기가 청각, 시각, 사회적 상호작용 등의 여러 면에서 발달 상태가 다를 수 있기 때문에, 특정한 행동이 나타나지 않더라도 일단 아기의 다른 발달 단계가 어떻게 진행되고 있는지 전반적으로 살펴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걱정이 되신다면, 소아과 의사와 상담하여 아기의 발달 상태를 평가받는 것이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황정순 보육교사입니다.

    신생아는 일반적으로 생후 2∼3개월부터 부모의 목소리나 얼굴을 인식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개인마다 차이가 있을 수 있으며, 일부 신생아는 더 늦게 부모의 목소리나 얼굴을 인식할 수도 있습니다. 그리고 신생아는 태어난 직후에는 아직 시각, 청각 등 감각 기능이 충분히 발달하지 않아 부모의 목소리나 얼굴을 인식하지 못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생후 1개월 이후부터는 부모의 목소리를 구분할 수 있으며, 생후 3개월 이후부터는 부모의 얼굴을 알아보고 눈 맞춤을 시작할 수 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그리고 개인마다 발달 속도가 다르기 때문에 일부 아기들은 조금 더 늦게 부모의 목소리나 얼굴을 인식할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대부분의 경우 시간이 지남에 따라 자연스럽게 발달하므로 크게 걱정하실 필요는 없습니다.

    만약 아기가 지속적으로 부모의 목소리나 얼굴을 인식하지 못하는 것 같다면, 전문가의 조언을 듣는 것이 좋을 수도 있습니다. 아기의 발달 상태를 평가하고 적절한 조치를 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감사합니다..~!!! : )

  • 안녕하세요. 김선민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부모가 신생아와 자주 소통하고 눈을 맞추며 대화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렇게 하면 아기는 점차 부모의 목소리와 모습을 익히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현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신생아는 태어날 때부터 시력과 청력이 완전히 발달하지 않았기 때문에 부모의 목소리나 얼굴을 직시 인식하지 못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신생아는 생후 몇주가 지나면서 점차 부모 목소리를 구별합니다

  • 안녕하세요.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7개월 된 신생아는 가까운 사람들의 얼굴과 목소리를 인식할 수 있습니다 .

    현재 아이가 부모님 얼굴 인식을 못하는 것이 발달 지연이라고 판단 하기 보다는

    정서적 유대 관계가 약해서 일 수도 있고, 아이들마다 발달 속도가 다를 수 있으니

    지속적인 교류와 따뜻한 상호작용으로 조금 더 지켜 보시는 게 나을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