핵겨울은 어떤 이유로 발생하는건가요?
핵겨울이라는 과학용어도 있던데
핵겨울은 어떤 이유로 발생하는 건가요?
핵전쟁 후에 발생하는 자연현상이라던데
핵의 폭발이 어떤 과정을 거쳐
자연의 환경까지 바꾸게 되는지요?
핵폭발로 인해 계절이 바뀌게 되는
과학적 근거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핵겨울은 핵전쟁으로 인한 대량 파괴가 지구의 기후 시스템에 영향을 미쳐서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핵겨울은 이론적으로, 대량의 핵폭탄이 폭발하면서 발생하는 화재와 연기로 인해 대기 중에 큰 양의 잔여 먼지와 연기가 생성됩니다. 이 잔여 먼지와 연기는 대기 중의 자외선과 가시광선을 차단하고, 지구로 들어오는 태양의 복사에너지를 흡수하게 됩니다.
이로 인해 태양 복사에너지가 지구로 도달하는 양이 감소하면서 기온이 급격히 하락하게 되고, 이는 지구의 기후 시스템에 영향을 줍니다. 대기 중의 먼지와 연기는 태양 복사에너지를 반사하거나 흡수하여 지구의 온도를 낮추는 효과를 가지며, 이는 계절의 변화와 함께 긴 기간 동안 지속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이 핵겨울로 알려진 현상을 초래합니다.
과학적으로 핵겨울의 근거는 기후 모델링과 핵실험 결과에 기반합니다. 핵폭발로 인한 대량 파괴와 잔여 먼지, 연기의 영향은 대기 중의 입자 및 복사에너지 전달에 영향을 미치는 물리적인 원리에 근거합니다. 이러한 모델링과 실험을 통해 핵겨울이 기후 시스템에 실제로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결론이 도출되었습니다.
안녕하세요. 박준희 과학전문가입니다.
쉽게 말하면
핵겨울(Nuclear winter)은 핵전쟁으로 야기된 먼지가 전지구를 덮어 태양빛을 차단하여 기온이 떨어지고 어두운 상태가 지속될 것이라는 상태를 말합니다. 즉 복사열이 차단되어 계속 추운거죠.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핵겨울은 핵전쟁으로 인해 지구에 대규모 환경변화가 발생하여 인위적으로 빙하기가 발생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 현상은 핵무기의 사용에 의한 폭발 자체와 거기에 동반되는 광범위한 화재에 의해 공중으로 떠오른 재와 연기 등의 에어로졸에 의해 태양광이 가려진 결과로 발생하는 것입니다.
대기 투명도 저하로 인해 태양광이 크게 차단되기 때문에, 해양의 식물성 플랑크톤을 포함한 식물이 광합성을 할 수 없게되고, 식물을 섭취하는 동물도 굶어죽게됩니다. 또한 기온도 급격히 떨어질 것으로 예상되는 등, 인간이 생존할 수 없을 정도로 지구 환경이 악화될 것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핵전쟁 전후의 기온 변화를 살펴보면 겨울철의 경우 북미와 아시아 지역에서 핵전쟁 이전에 비해 최대 10~20도나 떨어지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으며 여름철에는 기온이 더 큰 폭으로 떨어져 북미와 아시아 지역에서는 핵전쟁 이전보다 최대 20~30도나 떨어지는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칠영 과학전문가입니다.
핵전쟁이 일어나게 되어 지구표면이 심하게 파괴된다면, 심한 화재등으로 많은 분진이 발생하여 태양을 가려서 지구의 온도가 낮아진다는 개념입니다. 공룡 멸종의 근거로 생각되는 화산폭발, 운석충돌등으로 많은 분진으로 인해 빙하기가 생겼다는 것과 비슷한 개념입니다. 거대한 핵전쟁이라면 분진으로 지구 온도 하강은 대체로 동의되지만, 핵겨울이 올 정도로 심할지에 대해서는 정확히 판단하기 어렵다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