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문
조선시대의 도자기 특징은 무엇인가요?
학교 수업시간에 조선시대의 도자기의 가장 대표적인 것은 흰색인 백자라고 배웠습니다,
그외에도 역사적으로 조선시대의 도자기 특징은 무엇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조선시대 도자기는 점토의 종류, 성형과정, 소성과정 및 소성온도, 유약의 종류, 장식기법, 산지명칭등에 의해 분류됩니다.
청자, 백자, 분청사기, 골회자기 등은 점토의 종류와 소성결과에 의해 분류되어있고, 유약이나 장식 방법에 의한 분류로 청화자기, 천목, 진사, 철사가 있습니다.
소성온도에 의해 분류된것은 연질자기, 경질자기이며 성형이나 소성과정으로 분류한것은 식염유자기, 락쿠, 노천소성, 나무가마 등이있습니다.
이중 자기는 매우 높은 그릇으로 태토로 고령토를 사용하며 , 규석50%, 알루미나30%,포타시옴2.5%등의 성분이며 규석의 유리질화가 태도의 몸을 단단히 만들며 철분 함량이 거의 없거나 미량이라 연한 회색이나 백색을 띄며 그릇을 얇게 만들었습니다.
흡수성이 거의 없고 단단하며 약간의 투명성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