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의 도자기 특징은 무엇인가요?

2023. 01. 13. 12:58

학교 수업시간에 조선시대의 도자기의 가장 대표적인 것은 흰색인 백자라고 배웠습니다,

그외에도 역사적으로 조선시대의 도자기 특징은 무엇인가요?


아하에 질문하고 궁금증을 해결하세요! 지금 가입하면 125AHT을 드려요! 아하에 질문하고 궁금증을 해결하세요! 지금 가입하면 125AHT을 드려요!

총 1개의 답변이 있어요.

한문교육/중등교사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조선시대 도자기는 점토의 종류, 성형과정, 소성과정 및 소성온도, 유약의 종류, 장식기법, 산지명칭등에 의해 분류됩니다.

청자, 백자, 분청사기, 골회자기 등은 점토의 종류와 소성결과에 의해 분류되어있고, 유약이나 장식 방법에 의한 분류로 청화자기, 천목, 진사, 철사가 있습니다.

소성온도에 의해 분류된것은 연질자기, 경질자기이며 성형이나 소성과정으로 분류한것은 식염유자기, 락쿠, 노천소성, 나무가마 등이있습니다.

이중 자기는 매우 높은 그릇으로 태토로 고령토를 사용하며 , 규석50%, 알루미나30%,포타시옴2.5%등의 성분이며 규석의 유리질화가 태도의 몸을 단단히 만들며 철분 함량이 거의 없거나 미량이라 연한 회색이나 백색을 띄며 그릇을 얇게 만들었습니다.

흡수성이 거의 없고 단단하며 약간의 투명성이 있습니다.

2023. 01. 13. 14:02
답변 신고

이 답변은 콘텐츠 관리 정책 위반으로 비공개되었습니다.

신고사유 :
    답변 삭제

    이 답변은 작성자의 요청 또는 모니터링으로 삭제되었어요.

    이 답변은 비공개되어 본인만 확인할 수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