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믹스가 100억원대의 바이백을 계획하고 있다는데 이러한 점이 유의지정에서 해제될 사유가 될 수 있는지요?
위믹스가 거래소에서 유의지정이 되었고
그후 위믹스 측에서 100억원 규모의 위믹스 코인 바이백을 진행할 것이라는 발표를 했습니다
현재 상장폐지인지 유의해제인지가
관건인데
100억원대의 바이백 진행이
상장폐지의 리스크에 긍정적인 방향으로
작용할 가능성도 있는건가요?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전문가입니다.
위믹스는 상장폐지 이후 이번에 해킹 사건을 늦게 공지하면서 다시금 거래유의 종목으로 지정된 상황입니다 저는 위믹스 이번에 상장 폐지 될거라 생각합니다
이유는 상장 유지가 된다면 앞선 사례의 형평성 문제가 많습니다 작년 김치코인인 플레이댑 이랑 썸씽 코인이 해킹 문제로 상장폐지가 되었습니다 위믹스랑 같은 사례죠
바이백 100억 해준다고 유의해제를 해주면 거래소 신뢰도에 치명타라고 저는 생각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위믹스의 100억원대 바이백 계획에 대한 내용입니다.
아무래도 이렇게 100억원대나 들여서 코인을 바이백하게 된다면
유의해제하는 것에 직접적인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이종우 경제전문가입니다.
흠 글쎄요. 현재 위믹스가 유의지정으로 정해진 것은 최근에 발생한 브릿지 해킹 사건이 원인으로 알고 있습니다. 현재 바이백은 이로 인하여 하락한 위믹스의 가격을 유통량을 조절하여 상승하여 투자자의 신뢰를 회복하기 위한 임시방편으로 보입니다.
또한 거래소에서 상장폐지에 부담을 느끼게 하는 하나의 수단으로 보이며 위믹스의 유의 지정 해제를 위한 근본적인 해결책으로 보이기는 힘들기에 유의지정 해제에 아주 큰 영향을 줄 것 같지 않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김강일 경제전문가입니다.
위믹스가 거래소에서 유의지정된 상황과 그에 따른 100억 원 규모의 코인 바이백 발표는 최근 위믹스 관련 주요 이슈입니다. 질문하신 대로 현재 상장폐지 여부와 유의지정 해제가 관건인데, 100억 원대의 바이백이 상장폐지 리스크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가능성을 살펴보면 몇 가지 측면에서 분석할 수 있습니다.
먼저, 유의지정은 거래소가 특정 코인에 대해 투자자 보호를 위해 경고를 발령한 상태로, 상장폐지로 바로 이어지는 것은 아니지만 그 가능성을 열어둔 조치입니다. 위믹스의 경우 최근 약 90억 원 규모의 해킹 사건(2025년 2월 28일 발생)으로 인해 디지털자산거래소공동협의체(DAXA)가 유의종목으로 지정한 것으로 보입니다. 이는 위믹스 재단의 자산 관리나 공시 투명성에 대한 신뢰가 손상되었다고 판단한 결과로 해석됩니다.
위믹스 측에서 발표한 100억 원 규모의 바이백은 해킹으로 탈취된 코인을 재단 보유량으로 복구하고, 시장에 풀린 물량을 줄여 가격 안정화와 투자자 신뢰 회복을 노린 조치로 보입니다. 바이백은 일반적으로 코인의 유통량을 감소시켜 수요-공급 균형을 조정하고, 시장에 긍정적인 신호를 줄 수 있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특히 위믹스처럼 해킹과 같은 부정적 이벤트로 신뢰가 흔들린 상황에서는 재단이 적극적으로 문제를 해결하려는 의지를 보여줄 수 있습니다.
상장폐지 리스크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가능성을 따져보면 다음과 같은 점이 있습니다. 첫째, 바이백으로 유통량이 줄어들면 가격 하락 압력이 완화될 수 있고, 이는 투자자들의 패닉 매도를 줄이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습니다. 둘째, DAXA와 같은 거래소 협의체는 재단의 후속 조치와 소명 과정을 평가하는데, 바이백과 같은 적극적인 대응은 신뢰 회복 노력이 있다는 점에서 긍정적인 평가를 받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셋째, 과거 사례를 보면 2022년 위믹스 상장폐지 당시 유통량 문제와 공시 불투명성이 주요 원인이었는데, 이번에는 해킹이라는 외부 요인에 대응하는 조치라는 점에서 다소 다른 맥락으로 판단될 여지가 있습니다.
다만, 바이백만으로 상장폐지가 완전히 면제된다고 보긴 어렵습니다. 100억 원 규모는 위믹스의 전체 시가총액(2023년 말 기준 약 1조 원대에서 변동 있음)과 비교하면 상대적으로 작은 금액으로, 시장에 미치는 영향이 제한적일 수 있습니다. 또한, 해킹 사건의 근본적인 보안 문제 해결 여부와 공시 지연에 대한 소명이 더 중요한 판단 기준이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2022년 상장폐지 당시에도 위메이드가 130억 원 규모의 바이백을 진행했지만 결국 상장폐지를 막지 못한 전례가 있으니, 바이백의 효과는 상황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100억 원대 바이백은 상장폐지 리스크를 완화하는 데 어느 정도 긍정적인 방향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투자자 신뢰 회복과 시장 안정화에 기여할 수 있고, DAXA의 소명 과정에서 재단의 의지를 어필하는 요소가 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상장폐지 여부는 바이백 자체보다 보안 강화, 투명한 공시, 거래소와의 협의 결과에 더 크게 좌우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현재로선(2025년 3월 13일 기준) 유의지정 해제 여부가 결정되지 않은 상태이니, 위믹스 재단의 추가 발표와 DAXA의 최종 결정을 지켜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위믹스 플레이 브릿지 자산 탈취에 따른 시장 영향 해소와 시장 신뢰 회복을 통한 위믹스 가치 제고의 목적으로 바이백한다고 하는데요. 그러나 공지 이후 위믹스 코인이 큰 변동성을 보이고 있으며 상장폐지 가능성이 더욱 커져버렸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