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폐는 문명 초기에 어떻게 배포/발행하나요?
a국은 물물거래만 하는 나라라고 합시다.
a국의 왕과 신하들은 경제발전을 위해 화폐를 도입하려 합니다.
그래서 주화를 찍어내서 "이제부터 이게 돈이다~"라고하면 시민들은 그 돈을 어떻게 쓰나요?
발행할 때는 시민들이 그 주화를 갖고 있을 턱이 없는데,
화폐를 처음 도입할때 사람들에게 뿌리기라도 하나요?
아니면 국가가 물건을 시장에서 매수할 때 주화로 줘버리나요? <- 근데 이러면 인플레이션이 일어나지 않나요?
궁금한 것이 많습니다.
안녕하세요. 이진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문명 초기에 화폐를 배포하고 발행하는 방식은 국가나 지역에 따라 다를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방법이 사용되었습니다.
1. 교환물로서의 화폐: 화폐를 처음 도입할 때, 주로 교환물로 사용되는 가치 있는 물건(예: 금, 은, 곡물 등)을 화폐로 사용했습니다. 이러한 교환물은 국가나 권력자가 보유하고 있었으며, 이를 통해 거래가 이루어졌습니다.
2. 국가의 발행: 국가나 권력자는 화폐를 발행하여 유통시킵니다. 이 때, 처음에는 주로 국가 예비재로서의 귀금속이나 가치있는 물건을 백서화(국가 토큰)라는 형태로 발행하였습니다. 이 백서화는 국가에서 공식적으로 인정하고 수용하여 사용되었습니다.
3. 물건 구매 시 지급: 국가나 권력자가 화폐를 발행한 후, 시민들에게 화폐를 보급하는 방식으로 사용되기 시작했습니다. 국가가 시장에서 물건을 구매할 때 화폐로 대가를 지급하고, 이를 통해 시민들에게 화폐가 보급되었습니다.
인플레이션(물가 상승)은 화폐의 발행량이 증가하여 화폐의 가치가 하락할 때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를 막기 위해 국가나 권력자는 화폐의 발행량을 조절하거나 안정화를 위한 정책을 시행하기도 했습니다.
화폐의 도입과 사용은 각 시대와 국가의 상황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졌으며, 이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역사와 경제학의 영역에 속합니다. 더 자세한 내용을 알고 싶다면 역사나 경제학과 관련된 자료를 찾아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화폐라는 것이 문명 초기에 발행되었던 것은 물물 교환의 불편함으로 인해서 이를 대체할 만한 재화를 찾게 되면서 발생하게 된 것이에요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화폐와 같은 경우 초기엔 실물 등을 받고
화폐를 유통한다고 볼수 있으니
참고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