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자산관리

행복하게살아요
행복하게살아요

자산 비중이 어떻게 되어야 이상적인 것인지 궁금하여 문의 드립니다.

우리나라 사람들마다 자산에 비중을 두는 비율이 제각각인 것 같습니다.

어떤 사람은 부동산 비중이 매우 높고. 어떤 사람은 주식이나 예금 등의 투자 비율이 높은 사람들이 있는데요.

전문가께서 보시는 50대 초반 기준.

자산 비중이 어떻게 되어야 이상적인 것인지 궁금하여 문의 드립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질문해주신 자산 비중에 대한 내용입니다.

    사람마다 관점이 다르기에 어떤 것이 정답이다 말하기엔 어렵지만

    한국은 부동산에 대부분의 자산이 몰려있는데

    이는 어떻게 보면 현명하지 못한 자산 배분입니다.

    특히, 50대에 자산 배분을 하라고 하면

    부동산에는 30퍼센트 내외 나머지 현금성 자산으로 70퍼센트를 배분하도록 하겠습니다.

  • 50대초반기준이라면 개인적으로 주식이나 예금 그리고 연금자산의 비중이 50%수준은 되어야된다고 생각합니다 노후에는 무엇보다 안정적으로 현금이 창출되는 자산이 중요하며, 개인적으로 연금과 배당주 그리고 일정예금으로 목돈을 마련하시는 것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50대 초반 기준으로 이상적인 자산 비중은 안전성과 성장성을 고려해야 합니다. 부동산은 약 50%, 주식과 채권 같은 금융 자산은 30%, 현금 및 예금은 20%가 적절합니다. 이렇게 하면 안정성과 유동성을 유지하면서 성장 가능성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 일반적으로 추천되는 자산 비중은 다음과 같습니다.

    안전 자산: 40-60%

    예금, 채권, 부동산 등 안정적인 수익을 기대할 수 있는 자산입니다.

    은퇴 후 생활자금 확보, 급한 비용 대비, 투자 손실 방지 등을 위해 보유합니다.

    성장 자산: 20-40%

    주식, 펀드 등 성장 잠재력이 높은 자산입니다.

    장기적인 자산 증식을 위해 보유합니다.

    유동 자산: 20-30%

    현금, 예금 등 쉽게 현금화할 수 있는 자산입니다.

    생활비, 급한 비용 등을 위해 보유합니다.

    감사합니다.

  • 일단 저는 개인적으로 실거주목적 부동산은 자산비중에서 포함을 안시키는게 맞다라고 생각하며

    그외 자산에대해서 현금 부동산 투자자산 이렇게 크게 3 카테고리고 나누고

    현금성(저축, 예금 등) 3 : 부동산(저는 아직은 실거주 집밖에 없음) 3 : 투자자산(주식 등) 4 이렇게 하는게

    향후 목표입니다.

    지금은 현금성 4: 투자자산 6정도 입니다.

  • 50대 초반에 자산의 비율을 정하려고 하시는군요.

    우선 안전자산인 예금등으로 원금 손실 보지 않는 것에 70%정도가 좋을 것으로 판단되고

    주식은 30%로 공격적으로 운영하시는 것이 좋을 것으로 판단됩니다.

  • 안녕하세요

    • 50대 에는 공격적인 자산을 최대한 줄이고 배당이나 이자 등 앞으로 현금흐름을 창출할 수 있는

      자산의 비중을 점차 늘려가야 합니다

    • 은퇴를 앞둔 시점에서 돈을 공격적으로 굴리다가 잃으면 복구가 어렵고 부동산에 많은 돈이 묶여있어도

      생활비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현금흐름 창출에 집중하셔야 합니다.

    감사합니다.

  • 정답은 없습니다만 나이가 들어갈수록 부동산 비중이 낮아지고 금융자산의 비중이 높아야 한다고 생각됩니다.

    노후에 현금흐름이 중요하기 때문이며 개인적으로는 50대 이상이라면 금융자산의 비중이 50% 이상은 되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