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름철에만 나타나는 두드레기 증상
여름철만 되면 발등과 발목 위쪽으로 빨간색 반점이 생기고 간지럼 증상도 나타납니다. 여름외에 다른 계절에는 증상이 나타나지 않습니다. 특히 잠이 들면 더욱더 간지럼 현상이 심해 집니다. 왜이런 증상이 나타나는 걸까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노동영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피부증상은 피부과 전문의가 직접 보아야 진단이 가능합니다. 글로 표현해서는 한계가 있습니다. 피부과에 내원하여서 병변을 피부과전문의에게 보여주고 정확한 진료를 받으시길 권해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안중구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콜린성 두드러기는 벌레에 물렸을 때 부풀어 오르는 것과 같은 팽진이 24시간 이상 지속되지 않는 것이 특징입니다. 피부가 몹시 가렵고, 홍색 또는 흰색의 뚜렷한 경계가 보일 만큼 부어오릅니다. 콜린성 두드러기는 물리적 요인, 과도한 운동, 정신적 스트레스, 뜨거운 목욕 등으로 심부 체온이 1℃ 정도 상승하여 발생합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강창규 치과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추정 가능한 질환 : 콜린성 두드러기
콜린성 두드러기의 원인 :
(1) 과도한 운동, 체온증가
(2) 정신적 스트레스ㄱ
(3) 땀 분비 관련
콜린성 두드러기의 증상 :
(1) 작은 팽진
(2) 가려움증
(3) 홍반성 발진
콜린성 두드러기의 치료방법 :
(1) 항히스타민제 복용
(2) 오말리주맙 치료제
(3) 일정한 체온유지, 식이조절, 스트레스 관리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임태형 치과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콜린성 두드러기일 확률이 있어 보입니다.
콜린성 두드러기는 다음의 영향들로 많이 발생하게 됩니다.
아직 명확히 밝혀진 바 없지만 땀을 내 체온을 조절하는 신체 반응과 관계가 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갑자기 외부 온도가 상승하거나 열을 쐴 때, 정신적인 스트레스를 겪고 체온이 1 ℃ 이상 오를 때 나타납니다.
증상은 주로 얼굴과 몸에 많이 생기며, 두드러기와 함께 심한 가려움증과 따가운 증세가 동반합니다.
가슴이 답답하거나 숨을 쉴 때 씩씩거림, 호흡곤란이 함께 발생할 수 있으며
심한 경우 발한, 복통, 현기증이 나타납니다.
콜린성 두드러기는 만성으로 진행될 가능성이 높으니 꾸준한 치료가 필요합니다.
한번 생기면 치료가 어렵고 항히스타민제에도 반응하지 않아 환자들의 고통이 컸던 콜린성 두드러기에 중증 알레르기성 천식과 난치성 만성 자발성 두드러기 치료제인 오말리주맙이 효과가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습니다.
생활습관으로는 일정한 체온유지와 스트레스 관리가 매우 중요합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정주경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아토피의 가능성이 있으니 병원에 내원해서 진단을 받아보시는것이 좋습니다.
아토피의 원인들
농촌의 도시화, 산업화 인스턴트 식품의 섭취 증가, 실내외 공해에 의한 알레르기 물질의 증가등이 밀접한 관계가 있습니다.
실내에서 애완동물 사육이 많아지면서 원인 물질에 노출되는 것도 한 원인이 됩니다.
아토피에 걸리면 여러가지 증상들이 오게 됩니다.
심한 가려움증과 피부건조증, 피부병변등이 주요 증상입니다.
유아는 주로 얼굴에 진물, 딱지가 지는 급성습진, 2 – 10 세는 팔 다라 목의 접히는 부분에 건조한 습진형태,
성인은 손 습진이 많고, 얼굴에 홍반, 홍조, 습진이 나타납니다
치료
증상의 발현과 악화를 예방하기위해 원인과 유발인자를 제거하고, 적절한 목욕과 보습제 사용으로 피부를 깨끗하게 하셔야합니다.
약물 치료는 국소스테로이드, 국소면역조절제, 전신스테로이드 전신면역억제제, 항히스타민제, 인터페론감마, 광선치료, 감마 리놀산, 치모펜틴등이 있습니다.
약물치료에 반응하지 않거나 피부염이 심한환자는 자외선치료, 면역억제제, 면역글로불린을 정맥주사를 하는등의
전문치료가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이효상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확답하긴 힘들지만 콜린성 두드러기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콜린성 두드러기의 원인은 체온을 조절하는 과정에서 문제가 생겨 발생합니다.
물리적 요인, 과도한 운동, 정신적 스트레스, 뜨거운 목욕 등으로 심부 체온이 1 °C 정도 상승하여 발생합니다.
콜린성 두드러기의 증상에는 다음의 것들이 있습니다,
1-2 mm의 아주 작은 팽진이 다수 나타나고 그 주위에 1-2 cm의 홍반성 발적이 나타납니다. (팽진: 피부에 생긴 발진이 심해져서 커져 있는 상태)
팽진은 주로 몸통에 많이 나타나고 얼굴, 손, 발에는 나타나지 않습니다.
피부의 가려움보다 따가움을 호소하는 사람이 많습니다.
전신에 땀, 복통, 현기증이 동반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콜린성 두드러기의 치료는 과도한 운동, 정신적 스트레스, 뜨거운 물 목욕을 피하고 항히스타민제를 복용하여 치료합니다.
피부온도를 낮춰주는 것이 도움이 되는데 차가운 생수를 많이 마셔주면 진정이 되는데 심할 경우 찬물에 샤워를 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이구화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아토피의 증상에 속하십니다만 정확한진단은 병원에 가보셔야할것 같습니다.
발병 원인은 현재까지 정확하게 알려지지 않은 상태이며,
임상증상도 피부건조증, 습진등으로 다양하게 나타나기 때문에 한가지로만 원인이 설명될 수는 없습니다.
아토피의 증상
과도한 알레르기 반응이 일어나는 증후군입니다.
음식 알레르기를 가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습진, 결막염, 알레르기 피부염, 알레르기 비염, 알레르기 결막염, 알레르기 천식등의 증상이 나타납니다.
아토피를 치료하기 위해선
지나친 목욕, 일반비누의 지나친 사용, 습도가 낮은 생활 환경등에서 악화될수 있으므로 지속적으로 주의하셔야합니다.
세탁후 옷에 세제가 남지 않도록 하고,
더운 실내환경도 되도록 피하고,
모직, 합성섬유로 된 의류등은 가능한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창윤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여름만 되면 간지럼 증상이 생기고 잠이 들면 더 심해 문의 주셨습니다.
침대 등에 있는 진드기 등이 원인이 될수 있습니다.
정확한 것을 알러지 검사 시행하여 보는 것이 도움 되겠습니다.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이호진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원인의 가능성이 있는 콜린성 두드러기에 대해 설명 드리겠습니다.
콜린성 두드러기가 나타나는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온도차가 심한 실내외에 들어가거나 나올 때, 따뜻한 물로 샤워해 몸이 달아 오를 때, 맵고 뜨거운 음식을 먹었을 때, 집중하거나 긴장할 때, 화가 났을 때나 당황했을 때, 그 외 갑작스런 심리적 충격이나 불안 등 물리적 정신적 원인으로 신체에 갑자기 열이 오르는 상황이면 언제든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일단 콜린성 두드러기가 오면 다음의 현상들이 나타나게 됩니다.
홍색 발적에 둘러 싸인 직경 2-4 mm의 구진성 팽진이 특징적으로, 소양감을 동반하며 2-20분 이내 빠르게 발생하며 30분-1시간 정도 지속 됩니다.
피부 증상 외에 맥관 부종, 복통, 저혈압, 천명 등의 전신 증상이 드물게 동반 되기도 합니다.
치료법은 항히스타민제의 사용이 보편적이며, 그 외 DANAZOL, 베타차단제 및 SCOPOLAMINE을 이용한 대중요법 들이 있으나, 일반적인 약물요법으로는 반응이 없는 콜린성 두드러기의 경우도 많아 다양한 치료가 시도되고 있습니다.
자가 땀을 이용한 급속 탈감작 치료, 성상 신경절 차단술, 오말리주맙을 이용한 항 IgE 요법 등이 새로이 시행되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옥영빈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질문자님께서 말씀하시는 증상은 비특이적이기 때문에 특정한 원인이나 질병을 의심하기에 무리가 있습니다. 하지만 증상이 있는 만큼 관련하여 정밀 검사를 받고 정확한 상태 파악이 선행되어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피부과 진료를 보시고 필요한 검사 및 결과에 따른 치료를 받으시길 권유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