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생활

생활꿀팁

그리운물수리18
그리운물수리18

경상도에는 왜이리 눈이 안오는걸까요?

다른지역에는 눈이 겨울만되면 오고 양도 많은데 이 좁은 대한민국 땅에서 왜 유독 경상도 지역만 눈 구경이라고는 할수가 없는 걸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성실한따오기76
    성실한따오기76

    경상도 지역에 눈이 잘 오지 않는 이유로는 지형적 특성과 기후적 요인 때문이에요. 겨울철에 한반도로 불어오는 북서풍은 서해안에서 눈구름을 형성하지만 경상도 지역으로 넘어오지 못하고 소백산맥이나 태백산맥에 막히게 돼요.

    이 산맥들은 북서풍이 몰고 온 눈구름을 차단하면서 경상도 지역에는 눈 대신 맑은 날씨를 만드는 역할을 하기 때문이라고 보면 될 거 같아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생각하는 오뎅입니다. 해당 질문에 좋은 답변 드리겠습니다.

    눈구름은 고기압에서 만들어지기 때문에 대부분 낮게 형성됩니다.

     

    서해상에서 만들어지는 이 눈구름들은 소백산맥을 넘지 못하고 소산되게 됩니다

    . 따라서 소백산맥 뒷쪽에 위치한 부산과 경상도에는 상대적으로 눈이 잘 오지 않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경상도 지역에 겨울철에 눈이 내리지 않는 이유는 소백산맥의 눈구름대를 막고 있기 때문입니다. 겨울철 우리 나라에 내리는 눈은 보통 서해상에 찬공기를 가진 눈구름 대가 형성되어 내리게 되는데 북서풍을 타고 대각선 아래로 내려 가면서 눈을 뿌립니다. 이때 눈구름대가 이동하면서 점차 두께가 얇아 지게 되고 약해진 눈구름대가 높은 소백 산맥을 만나면서 소멸을 하기 때문이죠. 그래서 경상도에는 겨울철에도 눈이 거의 오지 않습니다.

  • 경상도가 위치한 지리적 특성 때문인데요, 이 지역은 바다와 산이 가까워 기온이 비교적 온화합니다. 특히, 동해안 근처는 바다의 영향을 받아 겨울철에도 기온이 급격하게 떨어지지 않아 눈 대신 비가 내리는 경우가 많습니다.

    또한, 겨울철 북서풍이 불 때, 북쪽에서 찬 공기가 경상도로 유입되기 전에 동해를 지나면서 온도가 상승하기 때문에 눈보다는 비가 내리는 경우가 많습니다.

  • 경상도 지역은 동해안에 위치해 있어 상대적으로 따뜻한 해양성 기후의 영향을 받으며, 눈 대신 비가 내리는 경우가 많습니다. 또한, 태백산맥이 차가운 북서풍을 막아주어 강설량이 줄어드는 효과도 있어 다른 지역에 비해 눈이 적게 내립니다.

  • 겨울철 우리나라에 내리는 눈은 보통 서해상에 찬공기를 가진 눈구름대가 형성돼서 내리는데

    북서풍을 타고 대각선 아래로 내려가면서 눈을 뿌려요

    이때 눈구름대가 이동하면서 점차 두께가 얇아지게 되는데

    약해진 눈구름대가 높은 소백산맥을 만나면서 소멸해 버린답니다

    이런 이유들로 경상도 지역에는 눈이 잘 오지 않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