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라노 칙령의 구체적 내용은 어떤 것인지 궁금합니다
학창시절 세계사 시간에 밀라노 칙령은 기독교에서 굉장히 중요한 칙령이라고 들었습니다 밀라노칙령의 내용은 무엇이고 가지는 의미는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밀라노 칙령의 내용은
종교에 관한 관용인데, 종교적인 예배나 제의에 대해 로마 제국이 중립적 입장을 취한다는 내용의 포고문이라고 합니다.
이로써 로마 제국에서 신앙을 가지는 것,
특히 기독교 신앙을 핍박하던 입장에서 옹호하는 입장으로 돌아선 사건입니다.
대다수의 사람들에게 있어 유익한이라는 언급이 있는데 배교자로 악명을 떨친 율리아누스 황제는 이 구절을 근거로 밀라노 칙령의 폐기를 선언하는 사태가 일어나기도 했습니다. 차라리 칙령이 아니었다라고 했다면 더 법리적으로 타당했을텐데. 그러나 이미 기독교가 널리 퍼진 상황에서 율리아누스의 조치는 제국의 혼란만 더 부채질하는 결과를 가져왔다고 합니다.
안녕하세요. 조형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밀라노 칙령은 말씀하신 것처럼 기독교 역사상 중요한 칙령입니다. 313년 로마 황제 콘스탄티누스 대제와 리키니우스가 공포한 이 선언문은 로마 제국에서 종교적 관용을 선포했으며, 특히 기독교인들이 박해 없이 신앙을 실천할 수 있는 자유를 부여했습니다. 이 칙령은 기독교인에 대한 박해를 종식시키고 종교가 결국 로마 제국에서 지배적인 신앙이 될 수 있는 길을 열었기 때문에 기독교의 중요한 전환점이 되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밀라노 칙령은(Edict of Milan) 313년 5월 반포되었습니다. 서방황제
콘스탄티누스와 동방황제 리키니우스가 밀라노에서 만나 중요한 몇 가지 사안에 합의했는데, 그 중에는 기독교에 대한
신앙의 자유를 전면적으로 허용하고
압수한 교회와 신자의 재산을 돌려 주며 손해는 국가가 배상한다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었습니다.
안녕하세요. 정준영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313년 2월에 로마 제국의 콘스탄티누스 1세와 리치니우스가 밀라노에서 회담하고 같은 해 6월에 발포한 칙령이다. 로마 제국 내에서 그리스도교의 자유를 허용한다는 내용이 포함되어 박해 시대에 몰수되었던 교회의 재산이 모두 반환되었고, 그리스도 교도를 속박하던 법률도 모두 폐지하였다. 로마 제국이 그리스도교와 융합하는 방향으로 결정적인 일보를 내디뎠다는 점에서 밀라노 칙령은 역사의 전환점이라고도 할 수 있는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출처 : Basic 고교생을 위한 세계사 용어사전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밀나노 칙령의 주된 내용은 종교에 관한 관용인데, 종교적인 예배나 제의에 대해 로마 제국이 중립적 입장을 취한다는 내용의 포고문입니다. 이로써 로마 제국에서 신앙을 가지는 것, 특히 기독교에 대해서 핍박 하던 입장에서 옹호하는 입장으로의 전환이 주된 내용입니다.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밀라노 칙령은 313년 2월 로마 제국의 콘스탄티누스 1세와 리치니우스가 밀라노에서 회담하고 같은 해 6월에 발포한 칙령으로 로마제국 내에서 그리스도교의 자유를 허용한다는 내용이 포함되어 박해 시대 몰수되었던 교회의 재산이 모두 반환되었고 그리스도 교도를 속박하던 법률도 모두 폐지했습니다.
로마 제국이 그리스도교와 융합하는 방향으로 결정적인 일보를 내디뎠다는 점에서 밀라노 칙령은 역사의 전환점이라고 할수있는 중요한 위치를 차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