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의료상담

내과

헌신하는밀잠자리217
헌신하는밀잠자리217

개식이 뭔가요..??? 결석과 다른가요??

저희 어머님이 최근에 병원에 입원하시면서 개식으로 입원하셨다고하는데

맹장위치에 변이굳어서 생긴거라고하더라구요

근데 인터넷에 찾아봐도 개식이라는 병명도 안나오고 뭘 조심해야하는지

어떤걸 드셔야하는지 알아보고 챙겨드리고 싶은데 ㅠㅠㅠ

혹시 아시는분 계신가용 ㅜㅜ??

빵을 엄청좋아하시는데 빵을 못드시고 계셔서 엄청 괴로워하시는데

혹시 비건빵이나 글루텐프리빵은 괜찮을까용 ㅜㅜ??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안중구 의사입니다.

      질문자분은 게실을 잘못 들으신 것으로 사료됩니다. 게실은 맹장과 일부 유사한 면이 있습니다. 보통 장은 한방향으로 흘러가도록 되어있으나 게실은 그 끝이 맹장처럼 막혀 음식물 이물질등에 의한 염증이 잦고 수분을 많이 섭취하는것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승현 의사입니다.

      아마 게실이라는 것 같습니다


      게실 질환은 식도, 위, 소장, 대장의 약해진 장벽이 늘어나 꽈리 모양의 주머니가 생기는 것을 의미합니다. 게실 질환은 대부분 대장에 발생하며, 특히 우측 결장에 잘 생깁니다.

       

      돌출되는 대장벽이 점막과 점막하층에 국한되는 경우를 ‘가성 게실’이라고 합니다. 가성 게실은 후천적으로 발생합니다. 여러 개의 게실이 나타나며, 주로 좌측 대장에서 발생합니다.

       

      근육층을 포함한 장벽의 전층이 돌출되어 주머니를 형성하는 경우를 ‘진성 게실’이라고 합니다. 진성 게실은 선천적으로 발생하며 동양인에게서 흔히 발견됩니다. 또한 주로 한 개의 게실이 나타나는 경우가 많고, 대부분 우측 대장에 생깁니다. 

       

      게실이 있지만 특별한 문제를 일으키지 않으면 ‘게실증’, 게실에 대변이나 음식물 찌꺼기 등이 끼어 염증을 일으키면 ‘게실염’이라고 합니다.

      원인

      게실 질환은 나이가 많아짐에 따라 대장의 동맥경화가 진행되어 탄력성이 떨어지고 혈관과 장관의 근육 사이에 틈이 생기고 차차 넓어지면서 발생합니다. 변비 등으로 인해 대장이 과도하게 수축하면 대장 내의 압력이 증가하면서 대장 벽의 약해진 부분에 주머니처럼 부풀어 게실이 생기기도 합니다. 또한 장 점막이 탈출하여 게실이 생기는 경우도 있습니다.

       

      좌측 대장의 게실은 나이가 많아질수록 발생 빈도가 증가합니다. 우측 대장의 게실은 연령과 관계가 없으며, 좌측 게실보다 10~20세가량 낮은 연령에서 발견됩니다. 65세 이상에서 50%, 85세 이상에서는 65% 정도 게실 질환이 확인됩니다. 젊은 연령인데도 게실이 발생하면 중증 질환인 경우가 많으며, 조기에 수술적 처치가 필요한 합병증이 자주 발생합니다.

       

      대장 게실은 고단백, 고지방, 저섬유질 음식을 섭취하는 국가에서 자주 발생합니다. 서양인의 경우 좌측 결장, 특히 에스결장에 가성 게실이 흔하게 발생합니다. 좌측 대장의 게실이 8090%, 우측 대장의 게실이5-10%를 차지하며, 에스상 결장에서 많이 발생합니다. 

       

      동양인의 경우 좌측 대장보다 우측 대장에서 6~8배 정도 많이 발병합니다. 대부분이 선천성, 진성형, 단발성 게실일 것으로 생각되는데, 맹장 혹은 회맹판 근처에서 잘 확인됩니다. 그러나 최근 식생활의 서구화와 인구의 고령화로 일본이나 우리나라에서도 대장 게실 질환의 빈도가 점차 증가하고 있습니다. 서구인과 비슷하게 좌측 대장 게실 질환의 발생 빈도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고기와 같이 섬유 성분이 적은 음식을 좋아하는 사람일수록 변비 및 대장 게실의 발생률이 높아집니다.

      증상

      ① 게실증
      대부분 증상을 호소하지는 않으나, 가끔 복부 팽만감, 복통, 변비가 나타나기도 합니다.

       

      ② 게실염
      게실의 염증이나 감염을 의미합니다. 복통, 배변 습관의 변화, 오한, 발열 등을 호소하며, 염증의 정도에 따라 증상이 심해집니다.

       

      ③ 출혈
      출혈은 흔하지 않으나, 대량 출혈이 발생한다면 위험할 수 있습니다. 직장 또는 항문 출혈의 형태로 나타납니다. 게실 출혈은 하부 위장관 출혈의 약 40~55%를 차지합니다. 
      게실 내의 소혈관에 반복적으로 염증이 생기고 손상되어 출혈이 생깁니다. 게실 출혈은 자연적으로 지혈되기도 하지만, 대량으로 출혈하면 응급 수술이 필요하기도 합니다. 출혈은 주로 우측 대장의 게실에서 발생합니다.

      초기에 아무 증상이 없으면 특별한 치료가 필요하지 않습니다. 그러나 게실염이나 출혈 등이 합병된 경우라면, 우선 내과적 치료를 해야 합니다. 만약 효과가 없다면, 수술해야 합니다.

       

      ① 게실증
      섬유질이 많은 식이와 수분 섭취를 증가시켜 대변을 부드럽게 하고 결장 내의 압력을 감소시켜 대변이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합니다.

       

      ② 게실염
      감염과 염증을 조절하기 위해 수일간 항생제 치료를 시행합니다. 안정, 금식, 가벼운 식사를 통해 장을 쉬게 합니다. 약물 치료를 시행하면 염증의 70% 정도가 회복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러나 비수술적 치료로 회복되었다고 해도 30%는 적어도 5년 이내에 재발을 경험합니다. 또한 재발하는 경우의 70% 정도에서는 합병증이 생긴다고 합니다. 재발을 줄이기 위해서 회복된 후에 지속적으로 섬유질을 섭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③ 수술적 치료
      게실염의 증상이 심하거나 반복적으로 재발하는 경우, 내과적 치료에 효과가 없는 경우, 게실염에 의한 합병증인 농양, 천공, 복막염, 누공, 다량의 출혈 등이 나타나는 경우에는 선택적으로 절제술을 시행합니다. 좌측 게실은 우측 게실에 비해 염증이 생기기 쉽고, 염증이 생겼을 때 합병증을 동반할 우려도 크며, 절제술이 상대적으로 수월합니다. 심한 합병증이 생기면 장루를 만들어야 하기 때문에 좌측 게실염인 경우 조기에 수술하기도 합니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김승현 의사 드림

    • 안녕하세요. 김기덕 의사입니다.

      게실.. 일거 같습니다.

      게실은 일종의 주머니 같은건데

      거기에 변이 오래 고이면 염증이 생겨서 게실염이 오기도 합니다.

      https://band.us/page/84064580/post/81

      이거 한번 참고해보시구요.

      컨디션이 회복되면
      서서히 섬유질이 적은 음식부터 먹습니다.
      섬유질이 적은 음식은
      - 껍질이나 씨가 없는 조리된 과일
      - 조리된 야채 - 당근이나 감자 등
      (껍질은 아직 노노!)
      - 계란, 생선, 닭고기 종류
      - 빵 (통곡물 빵도 아직 노노!)
      - 우유, 요거트, 치즈
      - 쌀밥

      증상이 호전되면 빵 드셔도 됩니다.

      빵 드시고 가스 많이 차는 분이시라면 밀가루, 글루텐 분해효소가 포함된

      소화제 등이 도움이 될 수 있어요.

    • 아마도 게실로 진단받으셨을 것으로 보입니다. 대장 게실은 대장벽 일부가 약해져 바깥으로 오목하게 탈출된 것으로 게실이 있는 부위에 염증이 생겨 증상이 있다면 게실염으로 진단합니다.

      게실의 원인은 잘 알려져 있지 않으나 고령일수록 많이 발생하고 변비가 있거나 식이 섬유가 적은 식사를 하게 되면 대변양이 줄고 대장이 더 큰 압력으로 대변을 밀어내게 되어 게실이 잘 생길 수 있습니다. 게실 자체는 증상이 없어 대장내시경 검사를 통해 우연히 발견되는 경우가 많고 게실에 염증이 있으면 열이나 복통과 같은 증상이 발생합니다. 혈변이 발생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게실 자체는 특별한 치료가 필요하지 않지만, 게실염이 있는 경우 일정 기간 금식으로 장을 쉬게 하고 수액요법과 항생제 등 약물 요법으로 치료합니다. 합병증을 예방하기 위해 섬유질이 많이 포함된 음식을 드시는 것을 권장하며. 도정이 덜 된 곡류나 통밀빵 등을 드시는 것도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 개식이라는 용어는 처음 들어봅니다. 공식 의학 용어 및 질병에 개식이라는 것은 존재하지 않습니다. 맹장 위치에 변이 굳어서 생기는 질환은 맹장결석입니다. 잘못된 질병명을 문의하시는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