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경제

주식·가상화폐

아리따운안경곰70
아리따운안경곰70

경제학 모형에서 배당할인모형은 어떤 것인지 궁금합니다

경제학 모형에서 배당할인모형이 주식의 가치를 결정하는 경제학 모형들 중 하나라고 하던데

배당할인모형이 가진 어떤 것들로 인해

주식의 가치를 결정하는 모형이라 할 수 있나요?

배당할인모형이라는 것은 정확히 어떤 것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배당할인모형이라고 하는 것은 주식투자에 따라서 발생하게 되는 미래의 현금흐름을 적절한 할인율을 적용하고 이를 통해서 현재가치로 전환하여 주식의 현재가치를 평가하는 모형을 말해요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배당할인모형은 주어진 주식의 가치는 미래에 받게 될 모든 배당의 가치의 합과 같다고 생각하여, 이 전제를 바탕으로 주식의 값어치를 계산하는 모형입니다. P=D/(r-g) 이렇게 계산되며 D=다음번에 받을 배당 / r=할인율(회사에서 요구하는 최소 수익률, cost of equity capital) / g=배당의 성장률
    P=적정주식가격 입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배당할인모형은 경제학에서 주식 가치를 평가하는 모델 중 하나입니다. 이 모형은 투자자들이 기업에서 받을 것으로 기대되는 미래의 배당을 현재 가치로 할인하여 주식의 공정 가치를 산정합니다.

  • 안녕하세요. 안동주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배당으로 할인하는 모형인데 이걸 풀어보면 개념은 이렇습니다.

    현재 주식가치를 설명할때 가장 많이 사용하는 방식이, 미래의 주가를 예상하고 여기서 현재 시간으로 할인하는 방식입니다. 미래에 주가가 10만원이라 예상되면 여기서 적정 할인률로 할인해서 보는 것입니다. 적정할인율은 기대 수익률입니다. 기대수익률은 최소한 이정도 수익은 돼야한다는 요구수익률 + 무위험수익률(가만히 은행에만 놔두거나 국채만 사도 얻는 수익률)을 더하면 됩니다.

    일단 개념을 미래의 가격을 예상하고 거기서 매년 이정도는 수익나야한다는 수익률을 할인해서 현재 주가를 구한다 이렇게 보시면됩니다.

    3년후 예상 주가가 100만원이고 기대수익률(할인률)이 10%라면 10%를 두번 나눠주면 됩니다. 주식은 보통 1년후 미래를 보고 움직인다고 가정하기 때문에 3년이 아니라 2년을 나눠주는 것입니다.

    이제 이런 개념을 배당으로 적용하면 배당할인 모형이 됩니다.

    매년 받는 배당금의 가치를 적정한 할인률(수익률)로 나눠주는 것입니다.

    산식은

    배당주 현재 가치 = 지금 배당금(1+배당성장률) / (요구수익률-배당성장률) 입니다.

    감사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주식의 가치를 결정하는 경제학 모형 중 하나. 주어진 주식의 가치는 미래에 받게 될 모든 배당의 가치의 합과 같다고 생각하여, 이 전제를 바탕으로 주식의 값어치를 계산하는 모형이다